4·7 서울시장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가 첫 TV토론회에서 맞붙었다. 이날 두 후보는 ‘보궐선거 책임론’을 두고 공방을 이어갔다. 오 후보는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으로 보궐선거를 하게 됐다며 정권심판론을 주장했고 박 후보는 직을 걸고 무상급식을 반대했던 오 후보 때문에 과거 보궐선거를 치르게 된 것과 다르지 않다고 반격했다.
이날 토론회에선 책임 공방도 이어졌다. 오 후보는 “할 일 많은 시점에 1년 임기 보궐선거가 왜 생겼는지 다들 아시지 않느냐”며 “전임 시장의 바람직하지 못한 사건이 있었다. 바로잡아야 한다”며 박 전 시장의 성추행 사건을 환기시켰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한 박 후보의 발언에 오 후보는 “그렇게 사과하는 거라면 그(피해호소인) 3인방을 쓰지 말았어야 한다”고 몰아세웠다.
이 같은 공세에 박 후보는 ‘무상급식’으로 반격했다. 박 후보는 서울시장 재임 시절 무상급식 반대를 위해 직을 걸고 주민투표에 나섰던 박 후보의 과거를 떠올리며 “당시 이것 때문에 보궐선거가 있었다”며 “(오 후보는) 2011년 보궐선거의 원인 제공자다. 보궐선거 이유를 제공한 건 똑같다”고 했다.
이에 오 후보는 “성추행에 의한 보궐선거와 똑같다는 것이냐”며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이어 오 후보는 “(나는 보궐선거 원인을 제공한 책임 때문에) 수십 차례 사죄드렸다”고 했다.
그는 또 “이제라도 무상급식에 찬성하느냐”는 박 후보의 질문에 “나는 소득수준 하위 80%까지 양보했지만 민주당이 무상급식이 당론이라고 해서 반대한 것이다. 무상급식 하나만 한다고 했다면 반대할 일이 아니었다”고 답했다.
박 후보는 “그게 시장직을 내던질 일이었느냐”고 지적했고 오 후보는 “당시엔 둑에 뚫린 조그만 구멍에 손을 넣는 심정이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오 후보는 “부자와 어려운 사람에게 똑같이 10만원씩 주는 이런 일이 지금도 벌어지고 있지 않으냐”며 “복지는 어려운 분들 위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후보는 “부잣집과 가난한 집을 나누는 것이 아이들에게 상처를 준다는 생각을 하지 않느냐”며 “어린이집에서 간식을 주는 건 무상급식 아닌가”라고 맞받아쳤다. 이는 오 후보가 돌봄 공약 중 하나로 어린이집 간식비 인상 등을 약속한 것이다.
오 후보는 이에 “이왕 시작됐으니 철회하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박 전 시장이 전임자 정책을 지우는 걸 보고 이건 아니다 싶어 행정의 연속성은 유지해야 한다는 게 원칙”이라고 했다. 다만 “무상급식 이후 원어민 교사가 줄어들고 화장실 못 고친 것 아니냐”며 “무상급식 예산으로 공교육을 더 강화할 수 있다”는 취지로 반박했다.
이날 토론에선 부동산 문제를 놓고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오 후보는 “집값, 전세, 월세가 오르면 주머니 사정이 얇아지고 경제 악순환의 계기가 된다”며 “그동안 집값이 많이 올랐다. 문재인정부가 참 몹쓸 짓을 시민·국민께 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유권자들이 이번 보궐선거에서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줬으면 한다”며 정부 심판론을 주장했다.
박 후보도 “문재인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잘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오 후보의 내곡동 처가땅 ‘셀프보상’ 의혹을 제기하며 맞받아쳤다. 박 후보는 “내곡동 땅 관련해 36억5000만원의 보상을 받았다”며 “추가로 받은 게 있느냐”고 물었다. 오 후보는 “장인·장모가 추가로 받은 게 있는지 어떻게 아느냐”고 답했다.
박 후보는 “서울주택도시공사(SH)로부터 답변서를 받았는데 단독주택용지 특별공급을 추가로 받았다”고 지적했고, 오 후보는 “(처가 일을) 어떻게 정확히 알겠느냐”고 즉답을 피했다. 박 후보는 오 후보가 2005년 내곡동 땅 측량 때 입회했다는 언론보도를 토대로 “증인이 세 명”이라고 하자 오 후보는 “16년 전 일을 정확히 기억 못해 여지를 두지만 ‘삼인성호’라는 옛말이 있다”며 허위 공세라고 반격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