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이 우주·항공 사업 투자 확대로 신성장동력을 확보한다.
한화시스템은 29일 이사회를 열어 1조2000억원의 유상증자를 결의했다고 밝혔다. 향후 3년간 저궤도(LEO) 위성통신에 5000억원, 에어모빌리티에 45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플랫폼 사업에도 2500억원을 투자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통신기술 개발과 위성 발사에 1900억원, 위성통신 기술 투자와 서비스 기술자산 취득에 2000억원, 생산시설 구축에 1100억원, 에어모빌리티 기체 개발과 인프라·서비스 개발에 2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에어모빌리티 핵심 기술을 가진 업체에 2500억원의 지분 투자도 예정돼있다.
디지털 플랫폼 사업은 기존의 블록체인,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첨단 사업을 진행해온 한화시스템 ICT부문에서 추진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은 2023년 독자 통신위성 및 저궤도 위성통신 시범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설정했다. 20년간 군 위성통신 체계 개발에 참여하면서 확보한 기술을 민간 위성통신에 접목한다는 전략이다. 2025년에는 정식 서비스를 출시하겠다는 구상이다.
김연철 한화시스템 대표는 “위성통신 사업의 2030년 목표 매출은 5조8000억원”이라고 말했다.
모건스탠리는 글로벌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 규모를 2040년 32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스페이스X, 원웹은 시장 선점을 위해 소형위성을 계속 쏘아 올리고 있다.
에어모빌리티 시장은 통신위성보다 크다. 국토교통부의 K-UAM 로드맵에 따르면 2040년 글로벌 에어모빌리티 시장은 730조원으로 추산된다.
한화시스템은 2019년부터 미국 오버에어(Overair)사와 함께 에어모빌리티 기체 ‘버터플라이’를 개발 중이다. 상반기 중에는 미국에서 에어모빌리티 기체의 핵심인 ‘전기추진시스템’을 시험한다.
2024년 중 기체 개발을 마무리해 2025년에는 시범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은 2030년 에어모빌리티 사업 매출이 11조4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한화시스템은 저궤도 위성통신과 에어모빌리티 사업의 시너지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은 에어모빌리티 사업의 핵심인 교통관리·관제 시스템에 활용된다. 에어모빌리티는 지상 통신망으로 신호를 주고받기 어려워 위성통신 기술이 필수다. 한화시스템은 두 사업을 함께 진행해 비용은 낮추고 효율은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유상증자는 주주 배정 후 실권주 일반 공모 방식으로 진행된다. 신주 배정 기준일은 다음달 22일, 구주주 청약 예정일은 6월 3~4일이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