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는 3기 신도시 땅투기 의혹을 받고 있는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의 전 보좌관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전주발 원정투기’ 의혹 관련 피의자 소환도 이주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될 예정이다.
특수본 산하 경기남부경찰청은 29일 전 장관의 전 지역보좌관 A씨 가족의 부동산 투기 의혹과 관련해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진주본사, 경기도청, 안산시청, 성남 신도시추진단 등 5곳을 압수수색했다고 밝혔다. A씨의 아내 B씨는 2019년 4월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 토지 1550㎡를 3억원에 매입했다. 해당 필지는 1달 뒤 3기 신도시 장상지구에 포함돼 투기 의혹이 일었다.
해당 필지는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있고, 인근에 토지 가치를 떨어뜨리는 송전탑까지 있어 확실한 개발정보 없이는 선뜻 매입에 나서기 어려웠을 것이란 의혹이 일었다. 특히 당시 전 장관은 안산 상록갑 지역구 의원이었고, A씨는 지역보좌관을 맡고 있던 점은 투기의혹을 더욱 짙게 하는 지점이다.
국민의힘 황보승희 의원이 지난 18일 이런 의혹을 제기했고, 사법시험준비생모임은 이튿날 농지법 위반 혐의로 B씨를 특수본에 고발했다. A씨는 특수본이 LH를 압수수색하며 첫 강제수사에 나선 지난 9일 건강상의 이유로 보좌관 자리에서 돌연 사직했다.
지난 27일 A씨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했던 특수본은 추가 압수수색에서 확보된 자료를 토대로 A씨가 신도시 지정 관련 내부정보를 미리 취득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전 장관 측은 의혹이 제기되자 “개발정보를 이용한 투기 목적의 부동산 매입으로 단정할 수 없다”고 해명한 바 있다.
전북경찰청은 전북 전주발 원정투기 의혹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북경찰청 관계자는 “부동산 투기 관련 21명을 내·수사 중”이라며 “이번주부터 관련자 소환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수본은 광명·시흥 신도시를 비롯한 3기 신도시에 토지를 매입한 전주 주민들을 차례로 소환해 개발정보 취득 여부 및 경로를 확인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