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 간부·아내, LH 전 직원 소환… 신병처리 임박

입력 2021-03-28 16:25

신도시 부동산 투기의혹을 수사 중인 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단지’를 비롯한 지역개발 투기의혹 관련 소환조사에 착수했다. 시민단체가 최초 고발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전·현직 직원에 대한 소환조사 역시 이르면 이주 중 마무리 짓고, 신병처리 절차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특수본 산하 경기남부경찰청은 28일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개발예정지 인근 토지를 가족 회사 명의로 매입해 투기한 의혹을 받고 있는 경기도청 전 간부 A씨와 아내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A씨는 기업투자유치담당 팀장으로 재직하던 2018년 8월 아내가 대표인 법인 명의로 원삼면 독성리 4필지 1500여㎡를 5억여원에 매입했다. 약 6개월 뒤 개발 도면이 공개되면서 해당 필지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현재 시세는 약 다섯 배인 2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본은 조사에서 땅을 산 경위와 내부정보 활용 여부 등을 캐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매입시점이 경기도와 SK하이닉스, 정부 간 반도체클러스터 조성 논의가 오가던 때였던 만큼 특수본은 관련 부서에 근무하던 A씨가 개발정보를 미리 입수해 투기에 나섰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특수본은 경기도가 지난 23일 A씨를 부패방지법 위반 혐의로 고발한 지 이틀 만인 25일 A씨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해 확보한 자료 등을 분석하고 있다.

LH 전·현직 직원에 대한 조사도 이어지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은 전 LH 직원 B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B씨는 2018년 1월 다른 LH 전·현직 직원들과 함께 3기 신도시 개발예정지인 광명시 노온사동 필지를 구입했다. 해당 필지를 사들인 이들은 모두 전북 전주 주민으로 ‘원정 투기’ 의혹까지 불거진 상황이다. 압수물 분석과 피의자 소환조사를 병행하고 있는 특수본은 1차 조사가 완료되는 대로 신병처리 절차에 나설 계획이다.

특수본 수사가 본궤도에 오르면서 내·수사 대상자도 확대되고 있다. 지난 26일 기준으로 특수본이 내·수사 중인 사건은 110건, 대상자는 536명으로 늘었다. 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과 국회의원을 포함한 전·현직 공무원이 102명에 달하고 LH 직원 32명, 민간인 322명, 신원 확인 중인 대상자는 80명이다.

한편 의정부지법은 29일 부패방지법 위반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포천시 공무원 C씨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다. 도시철도 연장업무를 맡았던 A씨는 지난해 9월 철도역사 예정지 인근 토지와 건물을 매입해 투기한 혐의를 받고 있다. 구속영장이 발부될 경우 특수본의 첫 구속사례가 될 전망이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