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과제 이뤄질까…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논의 속도

입력 2021-03-28 13:25 수정 2021-03-28 14:01
대구시와 경북도가 국립공원 승격을 추진 중인 팔공산 모습. 동구 제공

대구·경북지역 명산인 팔공산의 국립공원 승격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역의 관광 명소인 팔공산의 체계적인 보호·관리을 위해 국립공원 지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추진에 대한 지역주민, 토지소유주 등 이해 관계자들의 서면의견서를 접수 받는다고 28일 밝혔다. 앞서 시·도는 8차례에 걸쳐 이·통장, 주민자치회, 상가번영회 등 지역대표들을 대상으로 지역별 주민간담회를 실시했다. 이번 의견서 접수도 지역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과정이다.

팔공산은 경북 영천, 경산, 칠곡, 군위와 대구 동구에 걸쳐 있다. 현재 대구시(팔공산자연공원·34.999㎢)와 경북도(팔공산도립공원·90.242㎢)가 각각 따로 관리하고 있다. 시·도가 주민의견 수렴에 공을 들이는 것은 팔공산 면적 중 71.33%가 사유지기 때문이다. 주민 동의 없이는 국립공원 승격 추진이 힘들다.

승격 논의는 2012년 말부터 시작됐는데 재산권 행사 제한 등을 우려하는 일부 주민들의 강한 반대로 논의가 어려웠다. 이후 2018년 10월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과제가 시·도 상생협력 과제가 되면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시·도는 서면의견과 시·도 공동으로 수행 중인 ‘팔공산 도립공원 보전관리방안 마련 연구용역’ 결과 등을 바탕으로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건의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긍정적 의견이 나오면 5월 중 환경부에 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할 가능성이 높다.

대구시 관계자는 “일부 공원 구역 밖 토지소유주들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 공원구역에 추가로 편입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데 토지소유주가 원치 않으면 사유지는 추가로 편입되지 않는다”며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 영남의 명산인 팔공산을 보다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할 수 있고 브랜드 가치가 높아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의견서 제출을 희망하는 주민 등은 대구시, 경북도, 팔공산 관할 5개 시·군·구 홈페이지 공고문을 참고한 뒤 우편, 팩스, 이메일 등으로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의견서를 제출하면 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