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이후 코로나19에 확진된 사례가 50건 넘게 나왔다.
27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방역 당국이 확진자 신고 내역과 접종자 등록 내역 등을 비교한 결과 전날 0시 기준으로 총 57명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확진된 것으로 집계됐다. 백신 종류 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이 53명, 화이자 백신이 4명으로 나타났다.
확진된 시기를 보면 접종 후 일주일(7일) 이내가 15명(26.3%), 8∼14일 이내가 27명(47.3%), 2주 이후는 15명(26.3%)이었다.
성별로 보면 여성이 41명으로 남성(16명)보다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와 30대가 각각 15명으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50대가 13명, 40대가 8명, 60대 이상이었다. 주로 20~30대 젊은 층 접종 대상자에서 백신 접종 후 확진 사례가 다수 확인된 셈이다.
확진자의 직업을 보면 환자 2명을 제외한 나머지 55명은 모두 의료기관 종사자와 의료인이었다. 구체적으로는 물리치료사·임상병리사·영양사·간호조무사와 요양시설 종사자 등 의료인 외 종사자가 39명, 의료인이 16명, 환자가 2명이다.
방역 당국은 정확한 감염경로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한다. 다만 백신 접종 이전 또는 접종 이후 면역이 형성되기 전 감염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백신을 맞았다고 해서 바로 면역이 형성되는 게 아니라 약 2주가량 시간이 소요된다. 이 때문에 백신 접종 후에도 기존의 사람 간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하기, 올바른 손 씻기 등의 방역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김기남 예방접종관리반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확진자의) 감염 추정 노출 시점 등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예방효과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