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향자 ‘땅 투기 의혹’ 조사 착수…총 443건 제보 접수”

입력 2021-03-26 12:20 수정 2021-03-26 13:21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땅 투기 사태로 촉발된 부동산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이 지난 23일 '모친 명의 땅 투기 의혹'이 제기된 경기도 하남시의회 김은영 의원 사무실 압수수색을 마치고 압수품을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양향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부동산 투기 의혹’과 관련해 경찰이 사건을 관할 청에 배당하고 혐의를 조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 관계자는 26일 기자들과 만나 “검찰이 양 의원 관련 진정을 접수한 뒤 경찰로 넘겼다”며 “경기남부경찰청에 사건을 배당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양 의원이 피의자로 입건된 상태는 아니며 혐의가 있는지 검토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고소나 고발의 경우 바로 피의자로 입건되나, 양 의원의 경우 진정 형식으로 사건이 접수된 탓에 별도의 인지 절차를 거친 뒤 피의자 입건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양 의원은 2015년 10월 경기 화성시 비봉면 삼화리의 토지 3492㎡를 배우자와 공동으로 매입해 개발 호재를 노린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양 의원은 지난 10일 “해당 토지는 삼성 임원으로 승진할 때 구매한 땅으로 은퇴 후 전원주택을 짓고 노후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지인의 추천으로 샀다”고 해명했다.

양 의원 외에 국회의원 3명도 부동산 투기 의혹 관련 내사·수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본 신고센터에 접수된 부동산 투기 관련 제보는 전날 오후 9시 기준 31건이 추가돼 총 443건이 접수돼 있다. 이 중 일부는 시도경찰청에 배당된 상태다.

경찰은 이번 고위공직자들의 ‘부동산 투기 의혹’ 조사를 통해 수사력을 입증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김창룡 경찰청장은 이날 전국 시도경찰청장과 가진 화상회의에서 “부동산 투기 사건은 경찰의 수사 역량을 증명해야 할 첫 시험대”라며 “모든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철저히 수사해 국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보여드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의혹이 제기된 자는 신분과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성역 없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수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