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편의점 무인점포 논란에 “AI 대비하자는 것” 해명

입력 2021-03-25 17:33
4ㆍ7 재보궐 선거운동 첫날인 25일 자정께 첫 선거운동으로 편의점 야간 아르바이트에 나선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가 서울 마포구 홍대 앞 한 편의점에서 상품을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25일 여야는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무인 점포’ 발언을 놓고 공방을 벌였다.

박 후보는 이날 자정 첫 일정으로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인근의 한 편의점을 찾았다. 그는 트레이닝복 차림에 조끼를 착용한 채 1시간 가량 직접 손님을 맞으며 야간 아르바이트를 했다.

박 후보는 함께 한 편의점 직원에게 “몇 시부터 일하나. 한달에 얼마나 버는가” 등을 묻기도 했다. 일을 마친 뒤에는 기자들과 만나 “중소벤처기업부 장관할 때 스마트상점, 무인 슈퍼를 보급, 확산시켰는데 점주에게 이런 것을 건의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밤에는 무인으로 가게가 돌아가는 대신 일자리를 줄이지 않고 낮에는 알바생의 시간을 조금씩 줄이는 대신 밤에 올라가는 매출만큼 조금 더 (임금을) 지불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놓고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 측은 “박 후보는 첫 유세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달나라에서 하고 왔는가”라며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체험하고 ‘편의점 일자리’를 없애는 무인 슈퍼를 제안하다니 말문이 막힌다”고 맹공했다.

4ㆍ7 재보궐 선거운동 첫날인 25일 자정께 첫 선거운동으로 편의점 야간 아르바이트에 나선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가 서울 마포구 홍대 앞 한 편의점에서 야간 아르바이트생의 고충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서울시장 선거대책위 김철근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박 후보가 장관시절 추진한 스마트 무인 편의점으로 인해 일자리가 현격하게 줄어들었다”며 “스마트 무인점포의 인프라가 완벽히 갖춰지지 않아 주류, 담배에 청소년들이 무분별하게 노출될 우려와 함께 현장물품 절도 등의 대응이 미흡하다는 비판마저 받고 있는 설익은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편의점 아르바이트 체험만 곱게 하지 왜 그 자리에서 무인슈퍼, 스마트상점을 건의했을까. 장관 시절 치적이라고 홍보하려고 했을까”라며 “아르바이트 구하기 힘든 청년들의 가슴을 멍들게 하는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이후 박 후보 측은 입장문을 통해 “AI(인공지능)의 발달로 무인편의점 시대에 따른 일자리 감소에 대비한 선제적 시스템 구축을 얘기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박 후보 측은 “서울시 차원에서 ‘야간 무인편의점’ 도입 지원 시 기존 야간 종업원과의 이익 공유를 규약화하는 방안을 언급한 것”이라며 “일종의 프로토콜 경제로서 점주와 종업원의 규약을 통해 일자리 축소 없이 근로시간 단축에도 불구하고 동일 임금을 보장하는 형태”라고 설명했다.

4ㆍ7 재보궐 선거운동 첫날인 25일 자정께 첫 선거운동으로 편의점 야간 아르바이트에 나선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가 서울 마포구 홍대 앞 한 편의점에서 음료수 냉장고를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면서 “편의점 종업원의 ‘야간근무’로 인한 노동 강도를 ‘주간 근무’ ‘높은 생산성’으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언급이며 건강악화우려에 대한 대책이기도 하다”며 “WHO는 야간 근무를 2급 발암물질 수준으로 언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후보 측은 “스마트 공장도 초기엔 인력감축이 우려됐으나 생산성 향상으로 일자리 증대 효과를 가져왔다. 식당의 로봇 사용도 매출이 상승하며 결과적으로 일자리가 줄어들지 않았다”며 “국민의힘의 4차산업 혁명 신기술에 대한 이해부족이 가져온 무식한 논평이 아니면 악의적이고 의도적 논평”이라고 반박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