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연기관車 퇴출 시동… 2030년부터 렌트카 100% 전기·수소차로

입력 2021-03-25 16:47
한정애 환경부장관(앞줄 왼쪽에서 세번째)이 25일 오전 ‘2030 무공해차 전환 100’ 제1차 선언식에 참석해 자동차 렌트·리스 업체 대표 등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환경부

정부가 렌트·리스 차량 업계와 손잡고 내연기관차 퇴출에 시동을 걸었다.

환경부는 10개 자동차 렌트·리스 업체와 2030년까지 무공해차(전기·수소차)로 100% 전환할 것을 선언했다고 25일 밝혔다. 그린카·더케이오토모티브·롯데렌탈·선경엔씨엔스렌트카·쏘카·SK렌터카·제이카·피플카·화성렌트카·현대캐피탈이 참여한다.

10개 업체는 전체 렌트 업계 차량의 75.0% 수준인 69만7000만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 중 무공해차는 1.7%(1만1000대)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올해 무공해차 1만여대를 새로 구매하고, 보유 중인 6000여대 내연기관차를 처분하기로 했다. 2025년 23만대, 2028년 63만대, 2030년까지 99만대의 무공해차를 구매해 100.0% 전환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는 2030년 정부 무공해차 보급목표의 25.7%를 차지하는 실적”이라며 “민간기업의 전환 노력이 정부 보급목표를 조기에 초과 달성시키는 추진동력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음 달에는 제조업·금융업, 물류·운수업으로 100.0% 무공해차 전환 참여를 확대한다고 강조했다.

환경부는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 참여 기업이 전기·수소차를 구매하면 보조금을 우선 배정하고, 충전기반시설 설치를 지원할 방침이다. 법인·기관 대상 보조금 지원물량 40.0%를 이들 업체에 배정한다는 구체적인 계획도 세웠다. 보조금을 신속히 받을 수 있는 우선권도 준다.

다만 휘발유·경유차 등 내연기관 처분 방식은 숙제로 남아 있다. 중고시장에 매각하는 방식은 온실가스 저감 등 친환경 정책 목표와 배치되기 때문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기업이 소유한 차량을 모두 폐차하는 것을 강제하기 어려우므로 폐차 또는 매각 방식으로 처분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