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공직자 가운데 재산 공개대상자의 신고재산 평균액은 7억8000만원으로 종전 신고재산액보다 평균 8000만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부산시 공직자윤리위원회에 따르면 구·군 의원 및 공직유관단체장 등 공직자 재산공개대상자 총 191명 중 132명(69.1%)의 재산이 늘었고 나머지는 59명(30.9%)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재산공개대상자의 재산명세 및 변동사항을 이날 부산시보에 공개했다.
재산 순위를 보면 한정옥 사하구의원이 97억2000여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김주홍 강서구의원 87억9000만원, 김현미 남구의원이 46억9000만원, 고연희 연제구의원 36억9000만원, 허승만 서구의원 31억2000만원 순이었다.
이번 공개대상 중 최고 재산 보유자인 한정옥 사하구의회 의원은 재산증가 순위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한 의원은 1년 사이 33억6000여만원이 늘었다고 신고했다. 그는 전년도에도 6억원의 재산이 늘었다고 신고한 바 있다. 지난해 부산지역 재산 1위를 차지했던 김주홍 강서구의회 의원은 올해 11억3000만원이 늘면서 2위로 내려왔다. 이어 박구슬 남구의회 의원 9억원, 김정욱 해운대구의회 의원 9억8000만원, 김보언 수영구의회 의원이 6억5000만원이 각각 늘었다.
이들의 재산 증가요인으로는 부동산 공시가격 상승과 급여저축, 사업소득, 비상장주식 가액산정 방식 변동에 따른 증가 등이었다.
재산이 큰 폭으로 줄어든 공직자는 송샘 사하구의원으로 5억5000여만원이 감소했고 이어 박혜자 강서구의회 의원이 4억200여만원, 서정학 해운대구의회 의원 3억5000만원, 김동선 북구의원 2억4000여만원, 김선경 동구의원 2억2000여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재산 감소요인으로는 생활비 등 가계지출 증대를 비롯해 직계 존·비속의 고지거부 등 등록제외 등으로 파악된다.
부산시는 부산시 공직자 중 공직유관단체장과 구·군 의원 등 재산공개대상자 191명의 재산변동사항을 이날 부산시보에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한 공직자의 재산변동사항에 대해 오는 6월 말까지 심사한다. 재산심사 결과 불성실 신고 사실을 발견하면 관련 규정에 따라 경중에 따라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징계 의결 요청 등의 조치를 할 예정이다.
◇ 시장·고위공직자·시의원·구청장·군수 재산도 이날 공개
더불어 시장·고위공직자·시의원·구청장·군수 등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심사대상 공직자의 재산변동사항을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이날 전자관보에 공개했다. 부산시장은 공석이고, 신상해 부산시의회 의장은 8800여만원을, 김석준 부산시교육감 11억2900만원을 신고했다.
시의원 가운데서는 김종한 의원이 94억4000여만원을 신고해 1위를 차지했다.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김 시의원은 지난해 49억3739만원보다 45억969만원이 늘었다. 내역을 보면 본인과 배우자의 비상장주식 평가가액 산정방식 변경에 따라 가액이 변동되면서 재산이 크게 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16개 구·군 단체장 가운데 최진봉 중구청장이 77억9789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정명희 북구청장이 45억원, 노기태 강서구청장이 43억6000여만원, 홍순헌 해운대구청장이 33억8000여만원, 정미영 금정구청장이 19억4000여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이들은 주식을 구입했거나 주식 가액 변동 등으로 인해 재산이 늘었다.
노기태 강서구청장은 배우자가 강서구 대저2동에 땅 534㎡를 2억300만원에 구입했는데 과일·채소를 심는 도시농업 목적으로 신규 매입한 것이라고 했다. 대저2동에 땅을 가지고 있는 시의원도 있었다. 김동일 시의원은 재산신고액 6억5000여만원 가운데 5억5836만원 상당이 강서구 대저2동에 있는 3300㎡ 규모의 논이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