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걷기 운동 추세 등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부산시가 광안대교에 보행로 조성을 검토했으나, 안전상 문제로 상시 개방이 힘들다는 결론을 내렸다.
부산시는 광안대교 보행로 개방에 대한 시민 요구가 많았으나 검토 결과 ‘자동차전용도로’ 본래의 기능대로 이용하고 계획된 행사 때만 시민들에게 개방한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광안대교를 상시 개방해달라는 시민 요구가 늘자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자동차전용도로 해제, 교량 단면·구조 검토, 보행환경, 보행 안전 등에 대한 검토용역을 시행하고 시민여론조사, 시민단체 의견수렴 등의 절차를 거쳤다.
광안대교에 보행로를 확보하려면 차로를 축소하고 각종 교량 난간을 이설·신설해야 하지만, 용접이나 추가 볼팅(bolting)이 불가피해 기존 교량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저하된다고 판단했다.
특히 보행환경도 나쁜 것으로 드러났다. 광안대교 소음과 진동 값도 각각 법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풍속 역시 초속 7~32m의 위험풍속이 연중 1만7994회로 발생하고 순간 강풍이 불규칙적으로 발생해 보행자들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안대교 개방 관련 구글 온라인 설문과 세미 트레일러·대형화물차 운전자 직접 설문에서는 각각 60%와 75%로 반대 의견이 많았다. 부산경실련, 부산시민단체협의회, 걷고 싶은 부산, 부산참여연대는 해상 갈맷길 조성은 찬성하나, 광안대교는 중간에 빠져나올 수 없는 4.3km의 장거리 보행을 해야 하고 1.5∼2m의 협소한 보행로 폭 탓에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
시는 이런 이유로 자동차 전용 도로로 설계된 광안대교는 본래의 기능대로 이용하고 기존처럼 특별한 행사 때 시민에게 개방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김종경 부산시 도시계획실장은 "광안대교 상시 개방은 기술적·구조적 부분, 보행 안전 환경에서 타당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양한 연중행사로 차량 통제 후 광안대교를 전면 개방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