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반도체 업체 인텔이 반도체 생산 능력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인텔은 미국 애리조나주 오코틸로에 ‘팹’(fab) 반도체 공장 2곳을 짓는다는 계획이다. 팹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를 뜻한다. 전 세계 반도체 수급난 속에서 인텔이 파운드리 사업 진출을 선언하면서 한국의 삼성전자, 대만의 TSMC 등과의 경쟁도 격해질 전망이다.
로이터 통신과 CNBC 등 외신은 23일(현지시간) 인텔이 미국 애리조나주에 신규 반도체 공장 2개를 짓는 데 200억 달러(약 22조600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팻 겔싱어 인텔 신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새로 건설될 공장에서 첨단 컴퓨터 반도체를 생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텔은 지금 그리고 앞으로도 프로세스 기술 개발의 주역이자 주요 반도체 생산업체, 전 세계 실리콘(반도체) 공급 선두주자로 남아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텔에 따르면 공장 2개가 건설되면 정규직 일자리 3000개가 새로 만들어진다. 또 1만5000개의 장기고용도 제공할 수 있다는 게 인텔의 판단이다.
겔싱어 CEO는 또 인텔이 파운드리 사업에도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파운드리 사업부의 명칭은 ‘인텔 파운드리 서비스’로 결정됐다. 겔싱어 CEO는 “인텔의 파운드리 서비스는 독립적인 사업부”라며 “랜디어 타쿠르 박사가 직접 담당하고, 저도 이 조직을 직접 챙기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부분 (파운드리) 제조시설이 아시아에 집중된 상황에서 인텔은 미국과 유럽에서도 제조역량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미국과 유럽에서 캐파를 확보하고, 최첨단 패키징과 공정기술을 제공할 것이다. 이를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IP(설계자산) 포트폴리오를 고객에게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날 인텔의 투자 발표가 세계적인 반도체 생산 업체인 대만 TSMC와 한국 삼성전자에 직접적인 도전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형 미국 IT 기업들이 TSMC나 삼성전자를 떠나 인텔에 물량을 위탁할 가능성이 있어서다.
인텔은 특히 아마존, 시스코, 퀄컴, 구글 등이 인텔의 파운드리 사업을 지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인텔은 TSMC나 삼성전자가 개발 중인 3나노(1나노는 10억분의 1m) 공정에 못 미치는 7나노 공정을 개발 중이다. 다만 시장에서는 인텔의 대규모 투자로 빠른 시간 내에 TSMC나 삼성전자와 동등한 수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