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이 살아야 지역도 발전한다.’
광주시가 벼랑 끝에 내몰린 지역 대학의 위기 탈출을 위해 시 교육청, 대학과 의기투합한다. 지자체 최초로 대학교육을 지방행정의 특화된 영역으로 끌어들여 장기적 공존·공생을 모색하려는 시도다.
광주시는 “학령인구 감소로 정원 미달이 현실화한 지역 대학을 돕기 위해 민·관·학이 참여한 가칭 ‘광주대학발전협력단’을 꾸리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를 위해 다음 주 출범식과 함께 각 대학과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광주시가 구심점이 된 지역 공동체가 신입생 모집부터 학사 운영, 취업, 연구 활동 지원까지 다양한 청년·일자리 정책을 총괄 관리해 지역 대학의 존립을 꾀한다.
젊은이들이 여러 이유로 고향을 떠나는 안타까운 현실과 신입생이 부족한 지역 대학의 위기를 지자체가 주도해 극복하려는 것이다.
실제 종합대학 11개와 전문대 7개 등 광주지역 18개 대학은 올해 신입생 최종 등록률이 역대 최저 수준에 머물렀다. 지역거점 대학인 전남대마저 용봉·여수 캠퍼스를 합쳐 31개 학과에서 140명의 정원 미달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시는 대학발전협력단을 콘트롤 타워로 삼아 인공지능, 자동차, 에너지, 건강관리, 문화 콘텐츠 등 지역 핵심 산업의 인재양성에서 경쟁력을 갖추도록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미래 먹거리를 위한 다양한 연구 활동도 적극 장려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광주시 10개 부서가 따로 맡은 대학 관련 27개 사업을 한 곳에서 집중 관리하게 될 협력단은 각 대학, 교육청과 머리를 맞대고 대학 위기 극복뿐 아니라 지역 발전의 돌파구를 찾게 된다.
수평적 관계를 이룰 각 대학의 파견 인력과 공무원 등으로 구성될 협력단은 시 청년정책관을 단장으로 선임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시는 정상 가동단계에 접어들면 각계 민간 전문가로 가칭 ‘지역 대학 위기 대응 위원회’도 별도 구성해 협력단의 전문성을 높이고 지역사회와 공감대를 넓혀갈 계획이다.
시는 수년 전부터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문을 닫을 것이라는 소위 ‘벚꽃 엔딩’의 우려를 씻어내고 대학 발전·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일거양득의 정책성과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저마다 특화산업에 필요한 학과개설을 통해 각 대학의 특·장점을 극대화하고 맞춤형 인재를 길러내 지역 경제발전의 토대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광주지역 18개 대학의 학생 수는 지난해 4월 현재 8만 453명이다.
하지만 백년대계를 바라보는 대학교육과 성과에만 치중하기 쉬운 지자체 행정영역을 합리적으로 접목하기 위한 묘책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미국 스탠퍼드대학이 실리콘밸리를 견인했던 것처럼 지역 대학이 지역 경제와 문화 융성을 이끌어야 한다”며 “대학교육의 특수성을 전제로 충분한 논의와 소통을 거쳐 협력단을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