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의 한 영화감독이 NFT(Non Fungible Token·대체 불가능한 토큰) 열풍을 비판하기 위해 자신과 친구들의 방귀 소리를 녹음한 파일을 판매한 이야기가 외신을 통해 알려졌다.
21일(현지시간) 뉴욕 브루클린에서 활동하는 영화감독 알렉스 라미네즈 말리스는 트위터를 통해 자신과 친구 4명의 1년 동안의 방귀 소리를 모아 만든 NFT 매물 ‘마스터 컬렉션’이 약 426달러(0.2415이더리움·약 48만원)에 판매됐다고 밝혔다.
NFT는 최근 투자 대상으로 급속히 인기를 끄는 가상자산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한 것이다.
일반적인 동영상이나 이미지, 음악 파일은 무한히 복제할 수 있고 원본을 파악하기도 어렵지만, NFT는 소유권이나 판매 이력 등의 정보가 모두 디지털 장부라 할 블록체인에 저장되기 때문에 복제할 수 없는 ‘디지털 세계의 원작’이 된다.
이런 내재적 고유성·희소성 때문에 최근에는 투자 자산 또는 수집품으로서 그 가치가 주목받으면서 NFT가 적용된 디지털 이미지·영상물·음원 등은 천문학적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라미네즈 말리스는 뉴욕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사람들이 디지털 아트와 GIF를 판다면, 왜 방귀를 팔지 않을까요?”라고 반문하며 “무형적인 것에 가치를 두려는 NFT 열풍은 터무니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무형의 콘텐츠를 상품화하는 기술인 NFT가 희소성과 유일성을 앞세워 소장 가치를 극대화하는 점을 조롱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3월부터 친구들과 SNS ‘왓츠앱’ 단체 대화방에서 방귀 소리를 공유하기 시작했다. 그는 그곳에서 모은 녹음 파일을 52분짜리 ‘마스터 컬렉션’으로 정리했다.
또 모음집이 아닌 개별 방귀 녹음 파일도 개당 약 85달러(0.05이더리움·약 9만5000원)에 판매하고 있다. 실제 개별 파일을 구매한 사람도 있었다.
뉴욕포스트는 “그들이 이익을 목적으로 방귀 뀌는 것을 녹음한 것은 아니다”면서 “하지만 이들은 최근 추상적인 소유권이 수천만 달러에 팔리는 ‘NFT 광기’를 지켜보면서 방귀 소리의 NFT 판매를 결심했다”고 전했다.
라미네즈 말리스는 “NFT는 단순히 소유권을 나타내는 디지털 영숫자 문자열일 뿐이다”며 “NFT 열풍 이면에는 디지털 미술 애호가들이 아닌 투기꾼처럼 빨리 부자가 되려는 사람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NFT가 예술 작품이 기술과 결합해 고유한 매력을 보증받는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그 가치를 희소성과 이름값에만 기대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 트위터 최고경영자(CEO) 잭 도시는 과거 자신이 처음 올린 트윗을 NFT 형태로 경매에 부쳐 약 290만 달러(약 32억7000만원)에 판매하기도 했다.
김승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