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부동산 등 재테크가 향후 소득향상에 결정적일 것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월급 인상, 일자리 증가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 22일 발표한 ‘일자리 전망 국민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00명 중 32.9%가 주식, 부동산 등 재테크를 소득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꼽았다.
20대와 40대는 재테크 수단 중 주식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30대, 50대, 60대 이상은 부동산을 가장 유망한 재테크 수단으로 꼽았다.
암호화폐에 대한 기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는 주식, 부동산에 이어 암호화폐(9.5%)가 유망할 것으로 내다봤다. 40대 응답자의 9.4%도 암호화폐를 선호 재테크 수단으로 선정했다.
그 외는 업무 역량 강화 및 승진(14.9%), 창업(9.1%), 이직(7.8%) 등이 뒤를 이었다.
이같은 조사 결과는 월급 상승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응답자 10명 중 7명(68.9%)은 물가 대비 월급이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향후 고용상황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전망이 주를 이뤘다. 응답자의 44.6%는 코로나19 이전(2019년)보다 올해 고용상황이 매우 악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금 악화할 것이라고 내다본 응답자도 32.7%에 달했다.
특히 20대 응답자 중 매우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 사람은 전무해 청년층이 미래 고용시장을 가장 암울하게 내다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점(22.5%), 기계·선박·철강(17.4%)의 일자리 감소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반도체(21.4%), 바이오 등 신사업(20.6%) 등의 분야에서는 새로운 일자리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고용 악화의 원인으로는 코로나19 지속(45.3%), 국회·정부의 기업규제 강화(26.3%) 등이 지목됐다.
고용 상황 개선을 위해서는 기업 규제 완화(24.9%), 고용시장 유연화(21.9%) 등이 과제로 꼽혔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