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90% 일산대교 통행료 조정 ‘필요하다’

입력 2021-03-22 08:32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일산대교 통행료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 조정에 대해서는 ‘반값 통행료’가 가장 높았다.

일산대교는 경기도 고양시와 김포시를 잇는 다리다.

27개 한강 교량 중 유일하게 통행료를 받고 있는 유료도로로, 통행료 수익은 현재 일산대교㈜의 최대주주인 국민연금공단의 수익으로 돌아가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달 18일부터 23일까지 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일산대교 통행료 조정(인하 또는 무료화)이 필요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90%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적정 조정률에 대해서는 ‘50% 인하’가 29%로 가장 높았으며, ‘무료화’하자는 의견도 24%로 나타났다.

특히 일산대교 이용자가 많이 사는 고양·파주·김포시의 ‘무료화’ 의견은 36%나 됐다.

경기도민의 70%는 일산대교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들 중 51%가 지난 1년 간 일산대교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산대교 이용자 대상의 만족도 조사에서는 ‘만족한다’가 34%, ‘보통이다’ 43%, ‘불만족한다’ 23%으로 나타났다.

특히 불만족자의 대부분은 그 이유로 비싼 통행료(91%)를 들었다.

현재 일산대교 통행료는 경차 600원, 소형(1종) 1200원, 중형(2·3종) 1800원, 대형(4·5종) 2400원이다.

일산대교 통행료는 km당 652원으로(1200원 기준)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109원),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189원) 등 주요 민자도로에 비해 3~5배 가량 높은 편이다.

앞서 이재명 도지사는 지난달 15일 ‘일산대교 통행료 개선을 위한 현장간담회’에서 “통행료가 일부 주민들에 대한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자금 조달을 합리화해서 과도한 부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경기도는 지난달 19일 경기도의회와 손을 잡고 일산대교㈜ 측에 자금재조달 협상 개시를 정식 요청했으며, 지난 5일 회계·금융 등 각 분야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일산대교 통행료 관련 전문가 TF 출범회의’를 열었다.

오는 24일에는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공정한 민자대로 운영 방안 국회토론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월 18~23일 18세 이상 도민 2000명 대상 인터넷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 ±2.2%p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