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쓰촨성의 고대 유적지에서 희귀한 황금 가면이 출토돼 학계가 술렁이고 있다.
중국 남서부인 쓰촨성은 고대에는 중국 문명 발원지인 ‘중원’과는 떨어진 고립된 지역었다. 미지의 문명이 있던 이 지역에서 고도로 정교한 유물이 발견됐다는 점에서 중원 중심의 중국 고대사가 새로 쓰일 수도 있다는 관측까지 제기된다.
중국 문화재 당국은 20일 쓰촨성 청두에서 브리핑을 열고 대규모 발굴 작업 결과 싼싱두이 유적지의 ‘제사갱’ 6곳에서 황금 가면, 청동기, 옥기, 상아 장식품 등 유물 500여점을 발견했다고 밝혔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현지 언론이 21일 보도했다.
현지 언론은 특히 3000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 가면의 발견에 주목했다. 이 황금 가면은 얼굴 한쪽 부분 일부가 사라졌지만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크기는 폭과 높이가 각각 23㎝, 28㎝이며 무게는 280g가량이다. 금 순도는 약 84%로 조사됐다. 가면이 온전했다면 전체 무게가 약 500g을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학계는 중국 역사 본류와 거리가 있는 싼싱두이 유적지에서 제사장이 종교의식 때 썼을 가능성이 있는 황금 가면을 비롯해 고도로 정교한 유물들이 대거 나온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건 싼싱두이 유적지가 중국 학계에서도 미스터리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는 점이다. 쓰촨성 광한시에 있는 싼싱두이 유적지는 신석기부터 고대 은나라에 해당하는 시기까지 약 2000년에 걸친 시대의 흔적을 보전한 곳으로, 1934년 첫 발굴이 시작됐다.
SCMP는 “싼싱두이 유적지는 중국 고고학계에서 가장 큰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며 “여기서 발견된 유물들은 후대 중국 문화와는 눈에 띄는 연관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누구도 이곳 유물의 상징을 해독해내지 못했다”고 소개했다.
쓰촨성은 지리적으로 중국 역사의 중심지로 여겨지는 중원과 산맥으로 분리되어 있다. 싼싱두이 유적지가 있는 현재의 쓰촨성 일대가 중국 역사에 본격적으로 편입된 것은 기원전 316년 진나라에 정복된 이후부터다.
SCMP는 “미스터리한 문명의 보물들은 중국의 역사를 새롭게 쓸 수 있다”며 “쓰촨성에서 출토된 정교한 공예품들은 (황허 중심의) 전통적 서사에 도전하는 선진 문명이 존재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신문은 “전통적인 중화 문명의 중심지 바깥에 알려지지 않은 문명이 존재하는 것은 중화 문명이 여러 민족에 의해 이뤄진 뿌리를 갖고 있음을 말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스진쑹 중국사회고학원 고고학연구소 부소장은 “오랫동안 중원은 가장 문명이 발달한 세계의 중심으로, 외부에 사는 사람들은 야만인으로 여겨졌다”고 말했다. 하지만 싼싱두이 유적에서 쏟아진 대규모 유물은 중국 문명사가 전통적 관념보다 훨씬 복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