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확산세가 누그러지지 않는 가운데 20일 신규 확진자 수는 400명대 중반을 나타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52명 늘어 누적 9만8209명이라고 밝혔다. 전날(463명)보다 11명 줄었으나 지난 17일(469명)부터 나흘 연속 400명대를 이어갔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440명, 해외유입이 12명이다.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본격화한 ‘3차 대유행’의 여파는 5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 들어 완만한 감소세를 보였던 신규 확진자 수는 설 연휴(2.11∼14) 직후 600명대까지 치솟았다가 300∼400명대로 내려왔으나, 최근 산발적 감염이 잇따르면서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4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일간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459명→382명→363명→469명→445명→463명→452명을 나타냈다. 이 기간 300명대가 2번, 400명대가 5번이다.
이에 대해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20일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3차 유행의 꼬리가 잘리지 않고 하루 400여 명의 확진자가 한 달째 계속 발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권 1차장은 최근 감염 양상에 대해 “목욕장, 실내체육시설, 병·의원, 주점, 유흥업소 등 다중이용시설과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장에서 집단감염이 전국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학교, 어린이집, 직장 동료와 가족, 지인 간의 밀접 접촉을 통해 꼬리에 꼬리를 물 듯 감염이 지속되고 있다”며 고위험시설 등에 대한 선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전수 검사와 관련해 “오는 4월부터 시행되는 일반 국민에 대한 백신 접종을 목전에 두고 코로나19 확산세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지난 17일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강제하는 행정명령을 내렸으나, 외국인 차별 및 인권 침해 우려까지 불거지면서 결국 행정명령을 철회했었다. 권 1차장은 이런 논란을 의식한 듯 “감염 위험도가 높은 사업장의 내·외국인이 아닌 외국인만을 대상으로 전수검사를 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질병관리청과 지자체 등과 협의를 통해 감염 위험도가 높은 사업장의 내·외국인 모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방향으로 검사 방식을 명확하게 하거나 개선할 것을 요청했다”며 “외국인을 위한 검사 원활화 조치나 편의가 거꾸로 차별이나 인권 침해로 오해되는 사례가 있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방역 과정에서 이런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세심하게 살피겠다”고 덧붙였다.
권 1차장은 2분기 백신 접종을 앞두고 현재의 코로나19 상황을 안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19와 함께하는 시간이 걸어지며 의료진을 비롯한 많은 분이 지쳐가고 있지만 여기서 방심해서는 안 된다”며 “4차 유행을 기필코 막고 순조로운 접종을 통해 집단면역을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2∼3월 접종 대상자 80여만 명 중 67만 5천여 명인 84%가 접종을 순조롭게 마쳤다”고 전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작년 2∼3월 ‘1차 유행’이 발생했던 대구, 경북 지역의 특별 방역 대책을 논의했다. 권 1차장은 “코로나19와의 싸움이 길어짐에 따라 해이해진 경각심을 다잡고 심기일전해야 한다. 주말을 맞아 외출을 계획하는 분들은 가급적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해달라”며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