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반(反)군부 진영이 한국 포스코(포스코인터내셔널) 등 미얀마 내 외국 에너지 기업들을 향해 군사정권과의 사업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18일(현지시간) 현지 매체 이라와디에 따르면, 미얀마 반군부 진영이 구성한 임시정부 격인 연방의회대표위원회(CRPH)의 틴 툰 나잉 기획·재정·산업부 장관 대행은 최근 미얀마에서 석유·가스 관련 사업을 하고 있는 회사들에 이같은 내용의 최후통첩을 보냈다.
CRPH는 4개 기업을 특정했다. 한국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프랑스 토탈, 태국 PTT,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 업체는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등 최소 2개월 어치의 가스 대금을 군부가 장악한 계좌로 입금했다.
CRPH는 “군부가 사업을 통해 벌어들이는 자금은 미얀마 시민을 탄압하고 인권을 유린하는 데 쓰일 것”이라며 “군부와의 모든 사업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권이 자리잡을 때까지 세금을 납부하지 말라고도 요구했다.
이라와디는 미얀마가 석유·가스 사업으로 벌어들이는 자금 대부분이 국영 석유가스회사(MOGE)를 통해 정부로 흘러들어간다고 지적했다. 미얀마는 석유·가스 사업으로 한 달에 7500~9000만달러(약 1012억원)의 수입을 올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업체들이 군부 쿠데타에 침묵하고 사업 대금을 지급함으로써 군정을 간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CRPH는 업체들에 지난 9일까지 군부와의 협력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최후통첩을 작성한 나잉 대행은 “외국 에너지 기업들이 계속해서 석유·가스 대금을 지급한다면 군부는 그 자금을 이용해 시민들을 억압하는 데 열을 올릴 것”이라며 “미얀마인들의 민주화를 위한 노력이 물거품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호소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이에 대해 “(석유·가스 사업은) 20년간 미얀마 정부와 이어져온 계약을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다“면서 “정권 교체에 따라 급변할 수 있는 사업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가스 대금이 군부 자금으로 쓰인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지급한 수익금은 미얀마 국책은행으로 입금했기에 군부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주장했다.
미얀마 채굴산업 관련 기구인 MEITI에 따르면 2018년 기준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얀마에 지불한 거래대금은 1억9400만달러에 달한다. 페트로나스는 2억800만달러, PTT 4100만달러, 토탈은 2억5700만달러(2019년 기준)를 지급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