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급·연구수당 과다지급 논란을 빚은 GIST(광주과학기술원) 김기선 총장이 사의를 표명했다. 부총장단도 함께 물러나기로 했다.
GIST는 김 총장이 “최근 노조가 제기한 여러 논란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GIST 노조는 김 총장이 지난 2년간 급여 4억여 원 이외에도 3억 원 안팎의 연구수당·성과급 등을 이례적으로 받았다고 주장해왔다. GIST 총장으로서 학교발전보다는 그동안 퇴직 후 노후를 준비하는 데 치중해왔다는 것이다.
노조는 김 총장이 이를 위해 최근 퇴직 교원의 연구비 잔고계정 운영기준 등을 개정한 의혹이 짙다고 밝혔다. 본인의 오는 8월 퇴직 이후를 고려해 명예교수 규칙도 손질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연구비 잔액을 임의대로 사용하기 위한 운영기준 완화가 김 총장이 퇴임 후 명예교수로 취임하고 본인 계정의 연구비를 꾸준히 사용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고 지적했다. 명예교수 규칙 역시 현행 월 60만 원 정도인 교재연구비를 학점당 월 33만 원(단, 3학점의 경우 월 100만 원)씩 지급할 수 있도록 개정해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했다고 강조했다.
실제 김 총장은 총장직과 함께 정보통신융합연구센터장과 전자전특화연구센터장을 겸직하며 거액의 연구수당을 받은 의혹이 제기됐다. 각종 연구과제에 따른 연구수당을 센터장인 본인의 결재를 통해 자신의 계좌로 입금되도록 했다는 것이다.
이밖에 노조는 김 총장이 취임 후 2019년 6월부터 한 달에 한 번꼴로 20회 이상의 기준과 원칙 없는 인사권을 남발해 스트레스 등으로 여직원 3명이 유산했다는 제보가 접수돼 경위를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김 총장이 지난 2년간의 연구수당 등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자 해당 직원을 색출하기 위해 전면 감사까지 지시했다며 자진 사퇴를 촉구해왔다.
앞서 GIST 노조는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8일까지 김 총장에 대한 중간평가를 진행했다. 평가에는 전 직원 223명(휴직자 17명 포함) 중 176명이 참여해 100점 만점에 평균 평점 35.20점의 낮은 점수를 부여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