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 피해자가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해당 사건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정치인들에게 진정한 사과를 요구했다. 피해자 A씨는 “진심으로 잘못을 인정한다면 모두 용서하고 싶다”며 “비난의 화살을 제게 돌리는 행위를 이제 멈춰달라”고 호소했다.
A씨와 지원단체 한국여성의전화·한국성폭력상담소 등은 17일 서울 중구 퇴계로 티마크그랜드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피해자가 직접 나와 발언한 것은 박 전 시장 사망 252일 만에 처음이다.
마스크를 낀 채 입장한 A씨는 자리에 앉아 마이크를 두 손으로 잡고 발언문을 읽었다. 차분히 발언을 이어갔으나 긴장된 듯 중간중간 숨을 크게 들이쉬었다 내쉬었고, 떨리는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박 전 시장의 극단적 선택을 언급할 때는 눈물을 쏟아냈다.
A씨는 “고인의 극단적 선택으로 가해자와 피해자의 자리가 바뀌었고, 고인을 추모하는 거대한 움직임 속에서 나 같은 인간은 설 자리가 없다고 느꼈다”며 박 전 시장 사망 당시 심정을 밝혔다. 그는 “고인의 방어권 포기로 인한 피해는 온전히 나의 몫이었다”며 “분명한 사실은 이 사건의 피해자는 시작부터 끝까지 저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A씨는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있음에도 이 사건에 일언반구도 없는 정치인들의 모습에 이렇게 나서게 됐다고 기자회견을 연 계기를 설명했다. 성추행 사건이 서울시장 선거를 촉발했으나 유력 후보들을 비롯해 민주당 정치인 누구도 사과하지 않아 그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는 것이다.
A씨는 “제게 상처를 준 사람이 현재 여당 선거캠프에 다수”라며 “상처를 준 정당에서 시장이 선출됐을 때 저의 자리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는 두려움이 든다”고 했다. 그는 “몇몇 의원은 ‘피해호소인’이라는 말로 사실을 왜곡했고 (피소 사실을 유출한) 남인순 의원에게 받은 상처는 회복이 불가능한 지경”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낙연 대표와 박영선 후보가 사과한다고 했지만 어떤 것에 대한 사과인지 명확히 짚지 않았고 당 차원의 조치는 아무것도 없다”며 “아직 늦지 않았으니 ‘피해호소인’이라는 용어로 사실을 왜곡한 의원들을 징계하고 남 의원에 대해서는 (의원직) 사퇴를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2차 가해 중단과 일상으로의 복귀에 대한 염원도 덧붙였다. 그는 “잔인한 2차 가해 속에서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며 “피해 사실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은 소모적 논쟁을 중단하기를 부탁한다”고 호소했다. A씨는 “일상으로 돌아갔을 때 당당하고 싶다”며 “피해자가 에둘러 불편함을 호소하는 것이 아닌 가해자가 스스로 조심하는 사회가 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박 전 시장은 지난해 7월 8일 강제추행·성폭력처벌법위반 혐의로 피소됐으며 이틀 뒤인 10일 서울 북악산 숙정문 일대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박 전 시장 성추행 의혹과 서울시 관계자들의 방조·묵인 혐의와 관련해 5개월간 수사를 벌였지만 각각 ‘공소권 없음’ ‘혐의없음’으로 종결했다.
국가인권위원회와 법원은 피해자의 손을 들어줬다. 인권위는 지난 1월 25일 직권조사를 마무리 지으며 ‘성희롱에 해당한다’는 결론을 냈다. 앞서 같은 달 14일 서울시 공무원이 A씨를 성폭행한 혐의를 받는 다른 재판에서는 박 전 시장 성추행 의혹이 사실이라는 취지의 법원 판단이 내려졌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