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지역이 진짜 LH 투기 중심지였나. 그 아파트는 어디고 땅을 산 주민들은 대체 누구냐?”
전북 전주시민 40여명이 3기 신도시로 지정된 경기 광명시 토지를 대규모 매입한 원정 투기 의혹(국민일보 3월17일자 보도)이 커지자 지역 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신규 아파트값 폭등으로 여론이 좋지 못한 상황에서 불명예스러운 의혹 확대에 분위기가 더욱 뒤숭숭하다.
17일 각 기관과 시민들 사이에서는 경기도 원정 투기 의혹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전북본부에 대한 이야기로 하루 종일 시끌벅적했다.
시민 이모(52)씨는 “개발 정보를 이용한 공직자들의 투기 사례가 이번 뿐이었겠느냐”면서 “이번 기회에 공무원들의 땅 투기 행위에 대한 전수조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A부동산 김모 공인중개사는 “매번 개발 계획이 발표될 때마다 정보 찾기에 혈안이 되곤 했다. 이번에야 투기 실체가 조금 밝혀졌을 뿐이라고 생각한다”며 “해당 아파트가 어디고 LH 직원과의 관계가 뭔지 아느냐는 문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투기 의혹 진원지의 한 곳으로 꼽히는 LH 전북본부는 침통한 분위기가 이날 가중됐다. 직원들은 전북본부장을 지냈던 고위 간부(56)가 지난 12일 극단적 선택을 해 충격을 받은 이후 확산되고 있는 파장을 숨죽이고 지켜보고 있다.
한 직원은 “최근 본인과 직계가족의 투기 여부를 조사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동의서를 써 줬다”며 “몹시 침울한 상태에서 서로 말을 아끼고 각자의 업무에 열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직원들은 이날 진보당 전북도당이 전북본부 앞에서 펼친 LH 직원들의 투기 행위 비판퍼포먼스를 창문 밖으로 지켜보며 씁쓸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진보당 전북도당은 전북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정책 실패로 내 집 마련의 꿈을 포기하고 절망에 빠져있는 동안 공정해야 할 LH 직원들은 오히려 투기에 앞장섰다”며 “직원들의 투기가 확인될 경우 부동산을 전량 몰수하고 투기 이익금에 대해 전액 환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이들은 “전북도가 도청과 전북개발공사 직원을 대상으로 부동산 투기 사례를 파악하겠다고 밝혔으나 이것 만으로는 성난 민심을 달래기에는 부족하다”며 “도내 14개 자치단체 고위공직자 전원과 광역의원, 기초의원까지 포함해 전수 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아파트값 이상 폭등에 뒤늦게 특별팀을 구성하고 대응하고 있는 전주시도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전주시는 소속 공무원들의 부동산 투기 여부를 조사할 대상 지역을 모두 9곳으로 확대하고 특별팀을 보강해 고강도 조사를 해 나갈 계획이다. 전주시는 LH가 개발할 예정인 역세권(1500필지)과 가련산지구(271필지) 일대를 비롯해 전주교도소 이전 예정지와 팔복동 탄소산단 부지 등을 심도있게 조사해 나갈 방침이다.
전북경찰도 LH 전북본부의 전·현직 직원들의 수도권 3기 신도시 투기 여부에 대한 내사와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전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부동산 투기와 관련 국가수사본부에서 내려온 2건과 자체 수집한 첩보 1건 등 모두 3건, 3명에 대해 내사 수사하고 있다. 경찰은 이와는 별도로 전북지역 개발 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투기 행위를 적발하기 위해 전북도와 시‧군의 협조를 받아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