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지난해 교육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경남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USG공유대학 학생을 모집한다고 16일 밝혔다.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은 자치단체와 대학·기업지역혁신기관 등이 공동으로 협력하는 경남지역혁신플랫폼 사업이다.
경남형 공유대학 ‘USG’(University System of Gyeongnam)는 도내 17개 대학이 연합해 우수 자원을 공유하고 융·복합 과정으로 운영하는 전국 최초의 공유형 대학이다.
공유대학1~2학년은 기초 공통교양 과목을 이수하고 3~4학년은 복수전공 형태로 교육혁신 학사과정을 거치도록 해 경쟁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체제다.
도내 대학생 누구나 ‘USG’과정을 지원해 인증이나 학위를 받아 국내외 주요 선도기업과 공공기관 등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경남형 공유대학 ‘USG’는 경남의 미래먹거리 산업인 스마트 제조엔지니어링, 스마트 제조IC, 스마트 공동체 등 3대 핵심분야에 특화된 인재를 육성한다.
스마트 제조엔지니어링은 기계설계해석, E-mobility, 지능로봇 분야의 융복합 전공과 스마트 제조ICT 분야의 융복합 전공, 스마트 공동체 분야의 스마트도시건설 및 공동체 혁신 분야 전공을 개설한다.
도내 대학 구분 없이 소속 대학에서 4학기를 이수하고, 평균 평점 3.0이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며, ‘USG’과정을 통해 4학기 이상 연속해 이수 가능해야 한다. 외국어 성적이 우수하거나 선이수 교과를 이수한 경우에는 가점을 얻을 수 있다.
원서접수 기간은 오는 22일부터 26일까지 USG공유대학 누리집에서만 가능하다.
‘USG’ 학생으로 선발되면 정기적으로 혁신인재지원금 지급과 USG 졸업 시 지역혁신 플랫폼에 참여하는 LG전자, NHN, 한국항공우주(KAI), 두산공작기계, 센트랄, 지멘스, 다쏘 등 국내외 주요 선도기업들과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기관에 취업할 수 있다.
경남은 이달 초 부산, 울산을 포함하는 동남권 협력 지역혁신 플랫폼 구축에 합의한 바 있다. 올 하반기부터는 부산, 울산의 주요 대학과 기업까지 참여 폭을 넓혀 수도권 대학들과 경쟁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경수 지사는 “수도권의 선도 기업이 지역에 투자하고 이전하는데 지역인재는 필수”라면서 “지역 인재를 지역에 직접 길러내고, 좋은 일자리로 바로 연계 되도록 경남형 인재양성 체계를 잘 갖춰가야 한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지역인재 육성 경남형 공유대학(USG), 학생 모집
입력 2021-03-16 1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