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 일부 직원들의 땅 투기 여파가 날로 커가고 있는 가운데 전북지역 지자체들도 공무원들의 땅 투기 여부를 샅샅이 파헤치기로 했다.
전북도는 2015년 이후 이뤄진 도내 4곳의 부동산 개발사업과 관련해 본청 직원과 산하기관 직원의 투기 행위 여부를 전수 조사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김진철 전북도 감사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도청 직원 4000여명과 도 출자기관인 전북개발공사 직원 100여명, 그 가족이 직무와 관련한 정보를 이용해 부동산 투기를 했는지, 유사한 위법 사례가 있는지 등에 대해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사 대상 지역은 완주 운곡지구(시행자 완주군)와 익산 부송4지구(전북개발공사), 남원 구암지구(LH공사), 순창 순화지구(전북개발공사) 등 4곳이다.
김 감사관은 “1차 조사 결과가 4월 중순쯤 나올 것으로 추정한다”며 “철저한 조사로 위법행위가 확인되면 수사기관에 수사를 의뢰하고 자체 징계도 하겠다”고 덧붙였다.
전주시는 최근 7곳에 대해 소속 공무원들의 부동산 투기 여부를 고강도 조사키로 한 데 이어 대상지역을 2곳 추가했다. 추가된 곳은 전주교도소 이전 예정지와 팔복동 탄소산단 부지다.
이에 전주시 조사가 이뤄지는 곳은 LH가 개발할 예정인 역세권과 가련산 지구 일대를 비롯한 천마·여의지구, 이미 개발이 끝난 만성·효천지구와 에코시티까지 포함해 모두 9곳으로 늘어났다.
이 가운데 역세권(1500필지)과 가련산지구(271필지)는 LH 직원들의 부동산 투기 파문 여파로 한층 강화된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군산시도 대규모 개발지역 3곳에 대한 공무원들과 그 가족들의 투기행위 여부를 집중 조사, 투기 행위가 확인되면 자체 징계와 함께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대상 지역은 군산 전북대병원 부지, 신역세권 택지개발지구, 고군산군도 개발지역 등이다. 시는 오는 26일까지 자진 신고 기간을 운영하고 공직자 부동산 투기 신고 센터도 개설할 예정이다.
익산시도 관내 공공택지 개발지역에 대한 투기 세력 엄단 특별 감찰에 들어갔다. 익산시의 조사 대상 개발지역은 LH가 시행하는 소라산공원개발지역과 평화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를 비롯해 전북개발공사가 진행하는 부송4지구 등이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