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장 똑똑하게 지킬 스마트 부이 출시

입력 2021-03-16 09:36 수정 2021-03-16 10:00

해수전지를 사용하는 ‘스마트 부이’가 출시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 이용훈)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원장 김웅서)이 진행한 ‘2020년 지역 활력 프로젝트 사업’이 구체적 성과를 낳고 있다. 주인공은 사업 수혜기업인 ㈜케이랩스(대표 김원효)다.

16일 UNIST에 따르면 ㈜케이랩스가 제작하고 있는 ‘해양특화전지 기반 다목적 양식장 부이’는 다양한 해양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다. 바닷물 속 나트륨 이온을 이용해 전기를 충·방전하는 해수전지가 적용됐으며, 3D프린팅 방식으로 저렴한 비용에 맞춤 형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개발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역 활력 프로젝트 사업’으로 추진, 개발단계부터 연구기관과 민간기업이 협력했다.

UNIST와 KIOST 등은 2020년 5월 ‘해양특화 전력공급장치 기반구축 및 해양기기 실증사업’에 선정돼 울산 지역 업체들과 해양특화전지를 적용한 제품 제작 및 실증을 지원하고 있다.

김영식 UNIST 해수자원화기술연구센터장(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은 “스마트 부이는 대학 실험실에서 개발된 원천기술이 지역 사회의 새로운 산업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며 “부이를 통해 수집될 데이터는 최근 구축된 해양수산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과 연계해 다양한 신산업 창출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해양특화전지(해수전지) 기반 구축을 통해 전지 신뢰성과 생산성을 확보하고, 이를 적용한 실증으로 차세대 에너지 신산업을 주도하고 지역 내 신규 일자리와 매출을 창출해 주력산업 위기극복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차 해수전지는 UNIST 해수자원화기술연구센터(센터장 김영식)가 2014년 최초로 기술 개발에 성공한 이후 한국전력공사, 한국동서발전, KIOST 등의 지원을 받아 상용화 연구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기술 분야다. UNIST는 지난 2020년 11월에는 지상 5층, 지하 1층 규모의 해수자원화기술연구센터를 준공해 관련 연구의 고도화에 앞장서고 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