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대화 없는 기간 1년 이상 이어지고 있어”
새로운 대북정책 마련에 “한국·일본 의견 듣고 있다”
미국 백악관은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과 외교적 접촉을 시도했으나 북한은 답변하지 않았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15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우리는 (북한과) 접촉을 가졌다는 사실을 확인해줄 수 있다”며 “그러나 현재까지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사키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항상 그래왔던 것처럼, (북한과) 접촉할 수 있는 다양한 (북·미) 채널을 확실히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키 대변인은 그러면서 “외교가 항상 우리의 목표”라면서 “우리의 목표는 위험의 고조를 줄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외교는 계속 우리의 최우선 순위”라고 덧붙였다.
사키 대변인의 이번 언급은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2월 중순 이후 뉴욕의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를 포함해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과 외교적 접촉을 시도했으나 북한은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았다고 로이터통신이 지난 13일 보도했던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사키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북한이 대답을 하지 않아 놀랐느냐’는 질문을 받고 “미국은 여러 차례 관여를 시도했지만, 북한과 적극적인 대화가 없는 기간이 1년 이상 이어지고 있다”고 답했다. 전임 트럼프 행정부에 이어 바이든 행정부도 북한과의 외교적 접촉을 시도했으나 북한이 무응답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사키 대변인은 바이든 행정부가 마련하고 있는 새로운 대북정책과 관련해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들과 긴밀히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우리는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하는 위해 일본과 한국 등 동맹과 계속 접촉할 것”이라며 “우리는 (한·미·일) 3자 협의를 포함해 그들(한·일)의 의견을 주의 깊게 듣고 있다”고 말했다.
사키 대변인은 또 “그 지역의 동맹들과 계속해서 관여를 확대하는 것은 예상할 수 있는 일”이라며 “이는 당연히 논의의 주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의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이 일본과 한국을 연이어 방문하는 일정 동안 북한 문제와 북·미 대화를 협의할 것을 시사한 것이다.
사키 대변인은 새로운 대북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대북정책에 관여했던 많은 전직 미국 행정부 관계자들과 협의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젤리나 포터 국무부 부대변인은 전화 브리핑에서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의 대북 정책에 대해 철저한 기관 간의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포터 부대변인은 이어 “여기에는 북한으로 인해 이웃(국가)뿐만 아니라 더 넓은 국제사회에 제기된 증대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모든 옵션을 평가하는 것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