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 수습책으로 국회의원에 이어 모든 선출직 공직자에 대한 부동산 전수조사 카드를 꺼냈다.
김태년 민주당 대표 직무대행은 15일 당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모든 선출직 공직자에 대한 부동산 전수조사를 제안한다”며 “국회의원뿐만 아니라 지자체장, 광역시도의원, 기초의원까지 모두 조사하자”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 부산시장 후보 등 이번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모든 후보자와 직계 가족의 부동산도 전수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낙연 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도 “도둑이 제 발 저린 것이 아니면 (전수조사를) 회피할 이유가 뭔지 궁금하다”며 “세간에선 부동산 비리가 국민의힘 쪽에 몇 배 더 많을 거란 얘기도 나돈다”고 주장했다.
이는 최근 LH 사태로 여당에 집중된 책임론을 여야 전체로 확대하고, 야당의 소극적 태도를 지적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앞서 민주당은 국회의원 300명 전원에 대한 부동산 전수조사를 제안했지만, 국민의힘은 “민주당 소속 의원부터 전수조사하라”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여야는 ‘LH 특검’ 추진 등을 놓고도 입씨름을 이어갔다. 김 대행은 “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검찰이 LH 사건을 수사할 수 없다는 것은 야당이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야당의 검찰 직접 수사 주장은 억지”라고 말했다.
반면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민주당의 특검 요구에 대해 “특검 발족에 두 달 걸리는 걸 이용해 4월 재보선 전까지 (상황을) 모면하려는 의도가 있다. 저희는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결국에는 검찰 수사를 거쳐 특검으로 가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