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투기 의혹 더 있다” 정의당 세종시당 수사 의뢰

입력 2021-03-15 15:20 수정 2021-03-15 17:07
정의당 세종시당 관계자들이 15일 세종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투기 의혹 공무원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세종시 연서면 스마트산업단지 투기 의혹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추가적인 투기 의혹이 제기됐다.

정의당 세종시당은 15일 세종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가수사본부에 수사를 요구하는 익명 제보 4건을 공개했다.

시당에 따르면 세종시 공무원 A씨는 다른 지역에서 근무할 당시 시가 추진하는 대규모 도시공원 정보를 취득, 4000만원을 들여 부동산을 미리 매입했다.

그는 이후 부동산 가격이 매입가의 10배가 넘는 4억~5억원으로 올랐다고 주변에 알리는 등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투기 사례가 의심된다고 시당은 설명했다.

또 다른 공무원인 B씨의 경우 연서면 와촌리 국가산업단지가 지정되기 전 토지를 매입한 뒤 ‘벌집주택’을 지었다.

시당은 다만 B씨가 최근 세종시 공직자부동산투기신고센터에 자진신고한 공무원과 동일인물인지에 대해서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시당 관계자는 “시가 갖고 있는 명단이 공유되지 않아 (제보된 인물과 동일인물인지)대조해보진 않았다”면서도 “당사자의 이름과 부서는 알고 있다”고 했다.

공무원뿐 아니라 시의원에 대한 제보 역시 다수였다고 시당은 설명했다.

세종시의원인 C씨의 경우 자신과 관련이 있는 지역에 국가산단 유치가 확정되도록 기여했다는 제보가 접수됐다.

2018년 연서면 국가산단이 지정되기 전 후보지가 3곳이었는데, 해당 의원이 지인들과 함께 와촌리 부동산을 매입한 뒤 산단 지정 과정에 기여했다는 것이다.

시당은 이밖에 LH 공공임대 분양전환 아파트의 추가 입주자를 모집하는 과정에 LH 직원들이 다수 배정받았다는 제보를 받았다고도 밝혔다.

특히 한 단지의 경우 검색조건이 까다로워 일반인들의 접근이 쉽지 않았음에도 특정 계층에 있는 사람들이 입주에 지원했다고 주장했다.

여영국 정의당 대표후보는 “입주자 모집공고가 변경된 사유, 또 모집 결과 LH 종사자의 친인척 등이 배정받았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며 제보된 내용은 수사를 요청하고 추가 입주자 모집 과정에서 꼼수로 특정인을 대상으로 한 사례는 국정감사 등을 통해 심상정 의원과 공조하겠다”고 했다.

이어 “세종시는 투기 지뢰밭이다. 세종시에 내려 발 밟는 곳마다 투기가 아닌 곳이 없다고 한다”며 “정부합동조사단은 제3기 신도시 과련 조사기간을 2013~2018년으로 설정했다. 이 기간 선출된 공직자, 관련 공무원은 모두 조사해 반드시 뿌리를 뽑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 행복도시건설청장 D씨도 퇴임 이후 세종시 토지를 구매한 것으로 알려지며 논란이 불거졌다.

D씨는 2017년 11월말 연서면 봉암리 토지와 경량철골구조물을 매입했다. 이 일대가 국가산단으로 지정되기 9개월 전이다.

그는 “가족이 불편함을 호소해 단독주택으로 이사하기로 결정하고 계속해서 부지를 알아봤다”며 “대형 국책사업은 대외비이기 때문에 사업 부서의 옆 부서 사람조차 알 수가 없다. 소관 기관도 아닌데 행복청장이 어떻게 알겠는가”라고 해명했다.

연이은 의혹 제기에 경찰도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세종경찰청은 최근 산단 투기 의혹이 불거진 세종시청 6급 공무원 등 3명을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하고 조사를 진행 중이다. 해당 공무원은 2018년 2월 아내 명의로 국가산업단지 후보지에 토지를 매입하고 ‘벌집주택’을 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글·사진 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