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평화복지연대는 15일 ‘계양 신도시·검암역세권 사업 땅 투기 발본색원하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국회의원·단체장·시의원·계양구의원·서구의원은 스스로 조사에 응하고, 인천시·계양구·서구는 소속 공무원들을 전수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같은 성명서에서 “계양신도시와 검암 역세권 공공주택 사업에 대한 땅 투기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며 “인천지역 정치권과 관련 자치단체들이 스스로 땅 투기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력하게 요구했다.
이들은 “경찰은 공직 뿐 아니라 정치권에 대해서도 광범위하게 철저히 수사해야할 것”이라고 전제, “박남춘 인천시장도 투기의혹에 대해 적극 조사할 것을 지시해 645명의 명단을 국토부에 제출했으나 인천시의 소극적인 조사에 비판이 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계양신도시와 관련해 계양구 의원의 투기 의혹이 제기됐고, 검암 역세권 개발에 대한 투기 우려도 제기되고 있어 인천지역 부동산 투기에 대해 지역, 조사 대상과 범위, 조사 기간 등을 확대해 광범위하게 조사해야 한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이들은 “검암 역세권 개발 계획이 발표되기 직전인 2018년 토지거래량이 전년 대비 12배 이상인 51건으로 급증했다”며 “인천도시공사에서 추진한 검암 역세권 개발 계획 정보는 더 쉽게 노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검암 역세권 조사에 대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와 관련, 인천평화복지연대와 인천도시공사노동조합은 땅 투기에 대해 발본색원을 위해 투기 지역 조사 대상을 검암 역세권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전·현직 정치인(국회의원·자치단체장·시의원·계양구의원·서구의원)은 스스로 조사에 응하고, 인천시·계양구·서구 공무원과 관련 심의위원 및 공기업 전·현직 비상임 이사 등 조사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이어 조사 기간 확대와 함께 인천시·계양구·서구는 자체 조사를 실시하고 민관 검증기구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천평화복지연대와 인천도시공사노동조합 측은 땅 투기를 발본색원될 수 있도록 단체장과 국회의원과 시의원, 서구·계양구 의원들에게 조사에 적극 나설 것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보내고 회신을 시민들에게 공개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들은 “인천시장과 계양구청장·서구청장에게 조사 범위를 확대해 자체 조사 동의 촉구 의견서를 보낼 것”이라며 “우리는 이번 기회를 통해 부동산 투기와 정치권과 관련된 토착형 비리가 근절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