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사이 서울과 경기도권 코로나 선별진료소가 코로나19 검사를 받으러 온 외국인 노동자들로 북적이면서 또 다른 집단감염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명령한 결과다.
지난 13~14일 경기도와 서울 외곽 지역의 코로나 선별진료소에 근무일인 평일을 피해 코로나19 검사를 받으러 온 외국인 노동자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최근 외국인 노동자에 의한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하면서 경기도가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지시했기 때문이다. 도내 1인 이상 외국인을 고용한 사업장 2만5000여곳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 8만5000여명은 오는 22일까지 모두 검사를 받아야 한다.
14일 오전 서울 구로구 구로역 광장 임시 선별검사소는 이른 시간부터 외국인 노동자들로 북적였다. 검사를 빨리 받기 위해 서로 밀치고 고성이 오가는 등 혼란이 발생했고 대기자 간 몸싸움이 일어나 경찰이 출동하기도 했다.
같은 날 경기도 화성시종합경기타운에 마련된 이동 선별진료소도 몰려든 인파로 거리두기와 같은 방역수칙이 거의 지켜지지 않았다. 진료소 측 인력이 부족해 새치기 등 무질서가 통제되지 않았고 이른 시간부터 사람들이 몰려 검사를 받지 못하고 발걸음을 돌리는 이들도 있었다.
이런 가운데 외국인 근로자 전수조사가 오히려 코로나19 전파 위험을 키우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논란이 확산되자 화성시 측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업체별로 검사 요일을 정해 분산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며, 경찰과도 협조해 새벽 이른 시간에 나오는 사람들이 군집하지 않고 질서정연하게 줄을 설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며 “검사소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켜지도록 지도하겠다”고 밝혔다.
정인화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