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이 홍합단백질을 이용해 장기에 생긴 구멍을 메울 수 있는 치료기술을 개발했다.
포스텍은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 연구팀이 고려대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강석호 교수, 강북삼성병원 비뇨의학과 편종현 교수 연구팀과 함께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한 방광 누공 치료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체소재 분야 국제 학술지 ‘악타 바이오머터리얼리아’에 최근 온라인 게재됐다.
현재 방광에 생긴 구멍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봉합사로 꿰매는 물리적 봉합 방식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 봉합은 수술이 어렵고, 방광의 수축과 팽창으로 인해 조직이 손상돼 상처가 잘 아물지 않는 등 다양한 어려움이 있다.
공동연구팀은 2016년 홍합접착단백질의 상분리 현상을 이용해 개발한 수중접착제를 방광 누공을 모사한 돼지 모델에 적용했다. 주사기를 이용해 누공 부위에 고점도의 액상 접착제를 전달한 결과, 체액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접착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유연성이 좋은 단백질 기반 접착제의 특성으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장기인 방광에서도 누공의 폐쇄력은 계속 유지됐다. 이후 단백질 접착제는 생분해돼 누공이 자연재생 됐으며, 면역 반응이나 염증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 치료기술은 우수한 내수성 및 수중 접착력으로 향후 개복수술뿐 아니라 로봇 수술, 내시경 수술과 같이 최소침습적 수술법에도 적용 가능할 전망이다.
포스텍 차형준 교수는 “대한민국 원천소재인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해 실제 방광 누공 대형동물 모델에 적용, 효과적인 방광 누공 치료 기술로서의 효과를 확인했다”라고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