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올해 7곳 4·3희생자 유해 발굴 추진

입력 2021-03-14 12:51 수정 2021-03-14 15:32

제주도가 올해 7곳에 대해 4·3희생자 유해 발굴 사업을 추진한다.

도는 올해 신규로 국비 8억7000만원을 확보하고 지난 달 제주4·3평화재단 및 서울대학교 법의학연구소와 유해 발굴 및 유전자 감식을 위한 계약(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앞서 도는 희생자 유족 등의 증언을 토대로 유해 발굴 후보지를 선정하는 기초 작업을 진행했다.

확정한 시굴 예정지는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와 색달동 2곳, 영남동, 상예동, 시오름, 제주시 노형동이다. 모두 4·3사건 당시 일가족이 학살돼 유해가 암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증언과 제보가 나온 지역이다.

수습된 유해는 유전자 감식을 위한 샘플을 채취한 뒤 제주4·3평화공원 봉안관에 안치된다. 이후 유족이 확인되고 유족 요청이 있을 경우 발굴 유해를 가족의 품으로 인계하게 된다.

이와 함께 도는 올해 기존 발굴 유해에 대한 신원 확인 작업을 함께 추진한다.

현재까지 발굴된 405구의 시신 가운데 유가족 혈액을 통해 사망자의 신원이 확인된 것은 133구 뿐이다.

도는 나머지 272구의 시신이 유가족을 찾을 수 있도록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각 한 곳의 의료기관을 지정하고 오는 12월까지 유가족 채혈을 집중 독려할 예정이다.

한편 4·3사건 당시 희생돼 행방불명자로 심의 결정된 희생자는 현재까지 3631명이다. 이중 2006년부터 2018년까지 진행된 유해 발굴 작업에서 405구의 유해가 발굴됐다. 제주공항 주변에서 가장 많은 387구가 확인됐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