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아이들은 연령대별로 발달단계를 거친다. 코로나19로 친구들과 만나지 않은 채 성장하는 요즘 아이들. 전문가들은 그 아이들의 미래에 코로나가 바꾼 환경이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걱정한다. 더불어 코로나19의 파급 효과 속에서 자라난 새로운 세대를 일컫는 ‘C세대’ 또는 ‘코로나 세대’란 용어가 등장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CNN 방송은 코로나 세대(C세대)의 등장을 알리며 C세대가 누구인지, 팬데믹이 그들을 어떻게 바꿔놓았는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새로운 세대의 등장을 예고한 보고서로 주목받은 뱅크오브아메리카 글로벌리서치 이즈리얼은 “코로나19는 인류사에서 엄청나게 큰 메가 이벤트”라며 “그것은 이 세대를 규정하는 가장 강력한 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 세대란 용어는 팬데믹 초기부터 언론 보도 등에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최근에는 이즈리얼 같은 투자 분석가나 아동권리 옹호단체에서도 이 용어를 쓰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전히 코로나 세대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즈리얼의 경우 코로나 세대를 2016년부터 2030년대 중반에 태어난 어린이로 분류했다. 현재 벌어지는 변화가 너무 극적이어서 팬데믹이 끝난 뒤 태어날 아이들까지도 삶에 영향을 받을 것이란 예상이다. 대학생을 포함해야 한다거나 코로나 봉쇄에 특히 취약한 7~9세 어린이들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생후 첫 1000일, 즉 대략 신생아부터 만3세까지 아이들이 핵심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유니세프의 수석 보건 고문 제니퍼 리케호는 “(태어나서) 첫 1000일이 발달에 대단히 핵심적”이라며 “각국이 어린이들의 인생에서 이 예민한 시기를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의를 어떻게 내리든 가장 먼저 지적되는 영향은 사회성을 둘러싼 문제들이다. 지난해 4월 아들을 출산한 베카 스트라우스씨는 출산 시점에 미국의 학교와 상점들이 막 문을 닫기 시작했다. 그는 “동네 아이들이 마침내 모이게 됐을 때 어떨지 궁금하다”며 “아이들이 ‘이 많은 애들은 누구지? 난 뭘 해야 하지? 어떻게 다가가서 같이 놀아야 하지?’라며 궁금해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상황이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미치는 정신건강적 영향도 논의되고 있다. 미국소아과학회(AAP)는 공중보건 비상사태로 시작됐던 코로나19가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정신건강 위기로 발전했다고 지적했다. 6살과 3살짜리 아들을 둔 내털리 샌체즈씨는 “아이들이 점점 더 반(反)사회적으로 돼가는 게 나의 두려움”이라며 “나도 내 안에서 그걸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승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