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대구 가창댐 안전진단을 위한 수중탐사 중 취수구로 빨려 들어가 숨진 잠수사의 가족이 청와대 국민청원을 통해 아무런 사과도 받지 못했다며 해결책을 촉구했다.
숨진 잠수사 A씨의 누나라고 밝힌 청원인은 11일 “제 동생은 가창댐 수중안전진단 조사 중 가동 중이던 취수관에 빨려 들어가 고통스럽게 사망한 잠수부”라고 글을 시작했다.
청원인은 “동생은 20년 경력의 베테랑 잠수부”라며 “본래 댐 내에 잠수부가 들어가면 안전을 위해 취수관 가동을 멈춰야 하는데 가창댐 측은 동생이 입수하였음에도 가동을 멈추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베테랑 잠수부라도 취수관의 힘을 이기고 거스르는 것은 불가하며, 동료 잠수부에 따르면 사고 당시 댐 내 수중 시야는 제대로 확보되지 않을 정도”라고 전했다.
이렇게 A씨는 구조물을 더듬거리며 조사를 진행하다 취수관 근처까지 온 것을 미처 알지 못 한 채 빨려 들어갔다. 청원인은 “가창댐관리사무소와 안전진단 하청업체의 안일한 대처로 동생이 희생됐다”며 사고 직후 가창댐 측이 말을 바꿔가며 책임을 회피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청원인은 “애초에 방법이 없었던 것이 아니라 절차가 복잡해 귀찮게 생각했던 것은 아니었나”라며 “설령 방법이 없었다고 해도 사람의 생명보다 절차가 중요할 만큼 동생은 하찮은 작업자일 뿐이었나”라고 반문했다.
청원인은 “동생의 억울한 죽음 앞에 매일매일 고통스러운 날을 보낸다”며 “아직까지도 가창댐 관계자와 안전진단회사 측에서 어떠한 사과의 말도 하지 않는다. 다시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관련 기관과 회사를 강력히 처벌하고 해결책을 마련해달라”고 호소했다.
A씨는 지난해 10월 28일 동료 잠수사 B씨와 안전진단을 위해 수중탐사 중 열려있던 취수구로 빨려 들어가 실종 하루 만에 취수구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인근 지역은 단수 방지를 이유로 수중탐사 중인 잠수부들이 있음에도 취수구 밸브를 잠그지 않았으며, B씨가 A씨의 사고를 알린 30분 후에야 취수구 밸브를 잠갔다.
한편 해당 청원은 3월 12일 오후 4시30분쯤을 기준으로 1500명이 넘는 시민들이 참여했다.
이주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