묫자리 옆 주택 짓겠다는 양향자…부동산업자 “일반인이라면 사지않을 땅”

입력 2021-03-11 20:17
11일 양향자 더불어민주당 의원 땅 인근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무소가 위치해있는 모습. 이한결 기자

경기도 화성 택지개발 지구 인근 임야를 구입해 투기 의혹이 불거진 양향자 더불어민주당 의원 땅에 11일 취재진이 찾아간 결과 사실상 주거용으로는 보이지 않는 황량한 상태였다. 인근 부동사 업자들은 “묫자리를 봐둔 게 아니라면 이런 땅을 살 리 없다”고 평가했다.

국민일보가 이날 찾아간 양 의원의 땅은 도로와 연결돼 있지 않은 ‘맹지’였다. 바로 옆에는 묘가 놓여있는 데다 주변에는 물이 흘러 곳곳에 습지가 조성돼있었다. 녹슨 사육장 하나만 놓여있고, 2m 간격마다 하나씩 나무가 빼곡하게 심어져 있었다.

2014년 화성비봉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된 곳과는 도보 10분 정도로 꽤 가까운 거리였다. 큰 길가를 두고 한쪽에는 경사 진 양 의원 땅이 위치했고, 반대편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에서 공사를 진행하고 있었다. 가로수로 쓰일 나무들이 뿌리 감싸진 채로 쭉 놓여있고. 트럭이 왔다 갔다를 반복 했다.

양 의원이 “(2015년 구입한 화성시 땅은) 전원주택을 짓고 노후를 대비하려고 샀다”고 해명한 데에 주변 부동산 업자들은 의아해했다. 인근 중개업소 A대표는 “묫자리를 본 게 아니라면 (땅을 산 이유가) 설명이 안된다”고 잘라 말했다. A대표는 “도로 연결도 안 돼 있고, 집을 짓고 살기도 어려운 곳”이라며 “지역 개발 수혜를 받아 땅값이 오를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 이상 이런 땅을 누가 사겠느냐”고 반문했다.
투기 의혹이 불거진 양향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소유한 경기도 화성 임야 모습. 이한결 기자

다른 중개업소 B대표는 “공공에서 나서지 않으면 절대 개발될 수 없는 지역이라 일반 시민이라면 절대 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B씨에 따르면 이 땅은 용도 자체가 공익용 산지로 나와 있어 민간이 절대 개발을 할 수 없는 곳이라고 한다. 그는 “나무 수종까지 제한해서 나무 하나를 심어도 화성시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며 “공공개발의 수혜로 땅값이 오를 거라 기대하지 않는 이상 누가 이런 땅을 사느냐”고 했다.

일각에서는 양 의원이 실제 땅의 가치보다 높은 가격으로 거래했다는 의견도 나왔다. 인근 중개업소 대표 C씨는 “가치로 따지면 3.3㎡(1평)당 20만원 정도밖에 안되는 땅인데 (양 의원이) 평당 40~50만원에 매입을 했다는 게 이해가 안된다”고 말했다. 부동산 어플리케이션을 조회해본 결과 지난 2월 해당 필지 바로 옆 토지는 3.3㎡(1평)당 29만원에 거래됐다.

주민들은 LH 개발소식 이후로 기획부동산이 들어와 외부인의 땅 매매가 늘었다는 얘기가 돌았다고 전했다. 양 의원이 소유한 땅 바로 아래에서 과수원을 운영 중인 D씨(76)는 “10여년 전부터 부동산에서 임야나 이런 쪽들을 파는 것 같았고 7명이 쪼개서 등기를 낸 지역도 있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화성=강보현 이한결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