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부산 해운대 엘시티(LCT) 특혜 분양 의혹과 관련,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겨냥해 “‘윤석열 패밀리’ 연루 의혹에 어떤 입장인지 궁금할 따름”이라고 비판했다.
추 전 장관은 11일 페이스북에 ‘정의를 덮은 검찰이 수사를 독점할 자격 없다’는 제목의 글을 올려 “검찰과 법원의 엘시티 특혜 비리 은폐 의혹에 대한 진상을 이제라도 밝혀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윤 전 총장은 LH 사건이 터지자 검찰이 수사하지 않으면 대형 부동산 비리의 진상을 밝힐 수 없는 것처럼 민심을 호도하고 경찰의 수사 의지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며 “그런데 검찰이 덮었다는 의혹이 제기된 초대형 건설 비리가 수면 위로 올라왔다”고 운을 뗐다.
이어 “엘시티 특혜 분양에 부산의 내로라하는 법조계, 정관계 인사들이 연루돼 있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알려진 건 2017년 1월이었다. 박근혜 국정농단 특검이 가동 중이었고 박영수 특검과 윤석열 수사팀에 온 국민의 신경이 집중돼 있을 때였다”며 “그러니 국회도 그 사건에 주목하지 못했고 그 틈을 이용해 법원과 검찰이 이 사건을 덮었다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돼 왔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부산지역 법조계가 관여됐다는 것은 2016년 가을 국감장에서 고 노회찬 의원이 ‘엘시티 특혜 건설 비리 사건을 국회가 국정조사하고 하루빨리 공수처를 만들어 판검사 비리 조사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할 때부터 알려지게 됐다”며 “그는 엘시티 실소유주 이영복 회장과 문모 판사가 유착된 법조비리라고 주장했다. 그 후 문 판사는 옷을 벗고 변호사로 엘시티 비리 관련자들을 맡아 변호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또 언론 보도를 인용해 “법무부는 2013년 5월 엘시티를 투자 이민제 지역으로 전격 지정했고 이후 이영복 회장 측이 그 대가로 석동현 변호사가 소속된 법무법인 계좌로 10여 차례 걸쳐 3억원을 송금한 사실이 확인됐다”며 “그러나 검찰은 소환조사 한번 없이 서면조사로 무혐의 처리했다”고 강조했다.
추 전 장관은 “윤 전 총장의 절친으로 알려진 석 변호사가 차린 로펌은 ‘대호법무법인’이다. 대호는 윤 전 총장의 별칭이자 항간에 윤석열 대통령 만들기 프로젝트로 알려진 ‘대호프로젝트’를 연상케 하는 이름”이라며 “최근 석 변호사는 공수처장 후보로 국민의힘이 추천한 인물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석 변호사를 무혐의 처리한 사람은 ‘소윤’으로 알려진 당시 윤대진 부산지검 2차장이다. 2017년 상반기 대통령 탄핵과 조기 대선으로 국회와 정치권이 어수선할 당시 검찰과 법원이 구체적 진술과 증거에도 불구하고 제 식구가 연루된 법조비리 사건을 덮기로 한 것이라는 세간의 의심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고 확신했다.
마지막으로 “오직 검찰만이 제대로 된 수사를 할 수 있다는 식으로 여론을 호도하는 윤 전 총장은 대가성 뇌물수수의 혐의를 받고 있던 자신의 절친인 석 변호사를 자신과 의형제로 알려진 소윤이 덮어줬다는 ‘윤석열 패밀리’ 연루 의혹에 대해 어떤 입장인지 궁금할 따름”이라며 “이제라도 검찰과 법원에 의해 묻힌 부동산 특혜비리 의혹에 대해 국회와 사법당국은 철저히 진상을 파헤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석 변호사는 이날 YTN 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여권에서 제기한 의혹을 부인하며 “정말 답답한 상황이다. 오해가 있다. 엘시티에 대해 얘기하면, 아파트 두 동에 레지던스 건물 한 동인데 나는 레지던스 한 동을 청약했던 사실이 있을 뿐이다. 특혜 분양이라는 것은 아파트에 해당되는 이야기”라고 해명했다. 이어 “LH 사태가 터지고 나니 정치권에서 이렇게 맞불 이슈로 내세운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