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수도권 신도시 땅 투기 의혹이 전국의 공공개발사업장으로 확산 되고 있는 가운데 대구경실련이 11일부터 대구도시공사 시행 개발사업 관련 비리 제보 창구를 개설해 운영하기로 해 눈길을 끌고 있다.
대구경실련은 대구도시공사가 자체 조사를 진행하는 상황에서 따로 제보 창구를 개설하는 이유는 제보자가 상대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제보 내용에도 더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조사 주체가 대구도시공사이고 조사대상도 대구도시공사 직원과 그 가족으로 제한돼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것도 대구경실련이 나선 계기가 됐다.
제보 내용은 대구도시공사가 2012년부터 시행했거나 시행하고 있는 공공개발사업(수성의료지구, 대구국가산업단지, 안심뉴타운, 금호워터폴리스, 대구대공원, 식품산업클러스터, 복현주거환경개선지구 등)과 관련한 대구도시공사 관계자, 공직자, 일반시민의 불·탈법행위(투기 등)다. 대구경실련으로 전화, 이메일, 우편 등의 방법으로 제보하면 된다.
앞서 땅투기 의혹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대구도시공사도 자체적으로 지역 공공개발사업에 대한 조사를 벌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시민단체 등은 자체 조사 만으로는 부족하다며 경찰의 참여를 요구하기도 했다.
대구 수성구 ‘연호 공공주택지구’에도 LH 불똥이 튀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따르면 2018년 5월 지정된 연호 공공주택지구 개발 예정지인 연호동의 토지 거래는 2015년 37건, 2016년 46건에 불과했지만 2017년 70건으로 급증했다. 2017년에 거래된 토지 중 상당수가 지분 쪼개기 거래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연호지구에도 투기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대구경찰청은 40여명의 경찰을 부동산 투기사범 전담수사팀에 편성한다. 광역수사대장(총경)이 전담수사팀장을 맡고 총괄팀, 수사팀, 분석팀으로 나눠 조사한다. 국세청 직원 1명도 지원받는다. 앞으로 공직자 등 부동산투기 관련 첩보를 수집하고 단속을 강화할 예정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