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지역에서 간호·물리치료 등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코로나19 검사 비용 부담으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수도권은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실습생에게 코로나 검진비를 지원해 주는 반면 1.5단계인 비수도권 지역 실습생은 자부담으로 코로나 검사를 받아야 한다.
학생들은 실습 장소를 옮길 때마다 해당 기관에 코로나19 음성 판정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 보건소에서 검사할 경우 2만원 정도지만 대학병원의 검사비용은 10만원 수준이다. 짧게는 1주 만에 장소를 옮겨야 하는 실습생에게 검사 비용은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특히 간호학과 학생들은 검진 결과를 빨리 받기 위해 실습 나가는 대학병원에서 검진받는 경우가 많다. 예비 간호사들은 간호교육 인증기준 제도에 따라 졸업 시점까지 병원과 지역사회 기관 등에서 1000시간 이상 실습을 이수해야 한다.
행동하는간호사회 학생모임 측은 “학생 부담과 의료기관 부담 등을 고려해 현장실습을 취소하고 대체실습을 진행한 경우가 많은데 현장실습을 강행한 학교는 의무적으로 학생들에게 코로나 진단검사를 받게 했다”며 “병원 3곳을 나가는 경우 검사를 3번 진행해야 해 부담이 크다”고 데일리메디에 밝혔다.
학생들도 “같은 병원에서 외과, 내과 등 3곳에서 실습했다. 진료과를 바꿀 때마다 검진을 새로 받느라 4만5000원을 썼다” “우리 집은 여유가 없는 편이라 실습이 끝날 때까지 어떻게 버틸지 막막하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문길주 전남노동권익센터 소장은 언론을 통해 “대학과 교육부, 지자체가 서로의 책임을 떠밀며 알아도 모른 척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 소장은 “(실습시간을 채워야 하는) 학생들 입장에서는 검사비용이 만만치 않은 금액”이라며 “실습생에게 검사비용을 전가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우선은 학교에서 비용을 책정하고, 교육부와 지자체가 협심해서 검사비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