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스리랑카가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군부의 외교장관을 인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가 역풍을 맞고 있다.
11일 일본 교도통신은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상이 미얀마에서 외교수장으로 임명된 운나 마웅 르윈을 외교장관으로 호칭했다가 논란이 일었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 8일 주미얀마 일본대사관은 페이스북에 올린 성명에서 “마루야마 이치로 대사가 수도 네피도에서 열린 만남에서 쿠데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입장을 운나 마웅 르윈 ‘외교장관’에게 전달했다”고 적은 바 있다.
이에 대사관 페이스북에는 ‘#embassyofjapaninmyanmar’(주미얀마 일본대사관)라는 해시태그와 함께 “운나 마웅 르윈은 우리의 외교장관이 아니다”, “아무도 그를 인정하지 않는다” 등과 같은 비판 댓글이 8200여건이나 달렸다. 이들은 일본 정부가 표현을 수정해줄 것도 요청했다.
한 누리꾼은 “일본 정부가 불법 군부대와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것에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모테기 외무상은 논란에 “그가 합법적으로 임명됐는지에 대해 판단하지 않고 있다”며 “우리는 군부가 정권을 잡은 이후 미얀마에서 새로운 정부가 출범했다고 보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정부 대변인인 가토 가쓰노부 관방장관도 기자회견에서 “미얀마 군부와 대화를 유지하는 차원에서 운나 마웅 르윈을 외교장관으로 언급한 것”이라며 “이것이 군부에 의한 쿠데타나 시위대에 대한 폭력을 일본이 인정한다는 의미는 절대 아니다”고 주장했다.
스리랑카도 일본과 비슷한 논란에 직면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스리랑카 정부는 이달 말 열리는 벵골만기술경제협력체(BIMSTEC) 회의에 운나 마웅 르윈을 초청했다.
관련 소식에 미얀마 시위대 사이에서는 ‘스리랑카에 항의하라’는 해시태그가 확산했다.
스리랑카 외교부 관계자는 로이터에 “미얀마가 BIMSTEC 회원국이고 그 자격이 박탈되거나 중지되지도 않았기 때문에 현재 재임 중인 외교장관이 초대된 것”이라면서도 “이것이 우리가 미얀마 군사정권을 인정했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미얀마 시위대는 현재 군정 대신 아웅산 수치 문민정부 당시 집권여당이었던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의원들이 구성한 ‘연방의회 대표 위원회(CRPH)’를 인정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현재 외교장관을 포함해 9개 부처 장관을 독자적으로 임명한 상태다. 외교장관은 군부가 무효화한 총선에서 하원의원으로 당선됐던 진 마 아웅이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