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 ‘쌩쌩’ 살벌한 초등 등굣길, 이젠 안전해집니다

입력 2021-03-11 05:03 수정 2021-03-11 05:03
경기 광주 삼동 지역 통학로 구간. 학부모 제공 영상 캡쳐

교통사고 위험이 큰 등굣길을 방치해 문제가 됐던 경기도 광주시 삼동 지역에 통학버스가 시범적으로 운행된다(“트럭 오가는 초등 등굣길, 인도도 차편도 없습니다” 2월 23일 보도).

광주시는 관내 광남초등학교에 등하교하는 아이들의 안전한 통학권 보장을 위해 교육지원청과 협력해 통학버스 시범운행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버스 1대당 6000만원씩 2대, 총 1억2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운행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광주시 관계자는 “광남초는 원거리 통학 학생이 워낙 많아서 우선순위로 지원을 확정했다”며 “지원금 교부 이후 광남초에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광남초 외에도 통학버스 지원을 위해 총 4억2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해놨다”며 “수요조사를 진행한 뒤 2차 지원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미영 시의원은 “학생들이 의무교육인 초·중등 교육을 받기 위해 4㎞ 거리를 통학해야 한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다”며 “통학버스 등 통학 편의 제공을 위한 지원 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적극 돕겠다”고 전했다.

장기적으로는 삼동 내 통합 학교 신설도 검토된다. 그동안 걸어서 등하교가 가능한 거리에 학교를 신설해 달라는 주민 요구가 잇따랐지만 학령인구 및 세대수 부족 등의 이유로 삼동 내 학교 설립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광주하남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삼동 유·초·중 통합 학교 설립 추진을 검토하고 있다”며 “다만 교육부 심사 등 절차와 승인 과정이 필요하므로 학교 신설이 확정된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지난 2일 삼동 내 원거리 초등학생들에게 위촉장을 받고 있는 여·야 위원. 삼동 유초중 통합학교 설립위원회 제공

지난달 28일에는 통합 학교 설립을 위한 삼동 유·초·중 통합학교 설립위원회도 출범했다. 위원회는 지역 주민과 시·도의원으로 구성됐으며 공동 대표에는 광주시의회 이은채·이미영 의원, 고문에는 경기도의회 박관열 의원이 위촉됐다. 이은채 시의원은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로서 통학 관련 문제의 심각성을 알고 있다”며 “통합 학교 설립 추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삼동 지역 학생들은 인근에 초등학교가 없어 4㎞나 떨어진 초등학교로 통학을 하는 불편을 겪어왔다. 현행 법령에 규정된 초등학교의 통학 거리는 1.5㎞ 혹은 도보 30분이다. 게다가 통학로가 정비되지 않아 보행자 교통사고의 위험이 컸다. 인근에는 대형버스 차고지와 레미콘 공장 등까지 있어 아이들은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돼 왔다. 이에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하거나 아이 등하교를 위해 직장을 그만둔 학부모까지 생겼다.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손주미씨는 “학원 통학 버스로 (아이의) 등하교를 시키려 했는데 (도로교통법이 바뀌면서) 개학을 며칠 앞두고 더는 학원 차량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막막했다”며 “통학로 교통이 안 좋은 상황인 만큼 통학버스 운영 및 통합 학교 설립이 신속히 진행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김아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