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센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가족·친척 모임을 넘어 장례식장, 사업장에서 확인되면서 지역사회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방역당국은 최근 한달 새 변이가 전파됐을 것으로 판단하고 입국 검역 강화와 포괄적인 접촉자 전수 검사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박영준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10일 오후 기자단 온라인 설명회에서 국내 변이 바이러스 확산 정도를 묻자 이같이 답했다.
박 팀장은 “(변이 지역사회 집단감염) 사례에 대해 공개한 2월 초로부터 한달이 지난 시점에서 경기 여주, 시흥, 경기 광주, 부산 장례식장 등에서도 확인이 됐다”며 “지역적으로 한달 사이 퍼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변이가 지역사회에 확산될 것은 시간문제라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저희도 (그렇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해외 입국 변이 확진자의 격리 기간 중 가족 전파 사례 외에 5명 이상 집단감염 사례에서 다수 확진자의 검체에서 변이가 확인된 건 8일 기준 총 10건이다.
첫번째로 발표된 경남·전남 외국인 친척모임 관련 사례는 이달 8일 기준 전체 확진자 38명 중 13명으로부터 영국발(發) 변이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이외에도 경기 시흥시 일가족(7명), 경기 여주시 친척모임2 관련(7명), 경남 김해시 일가족 관련(1명·이상 영국 변이), 경기 김포시 일가족 관련(3명·남아프리카공화국 변이) 등 가족·친척모임 집단감염에서 변이가 검출됐다.
여기에 인천 연수구 수출매매단지 관련(1명) 사례부터 경기 광주시 식품회사 관련(2명), 부산 북구 장례식장·울산 골프연습장 관련(2명), 인천 서구 무역회사 관련(1명), 경기 여주시 제조업 관련(1명) 등 절반인 5건은 사업장이나 장례식장 등에서 변이 감염자가 나왔다.
방역당국은 지난달 24일부터 내국인 포함 모든 해외 입국자에게 PCR 음성확인서 제출을 의무화하고 격리 해제 전까지 총 3회에 걸쳐 진단검사로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여기에 추가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격리 기간은 물론 확진자 발생 시 검사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박 팀장은 “(변이 바이러스) 대응 대책의 핵심은 변이 바이러스가 주로 확인되는 비율이 높은 국가 입국자를 최대한 줄이는 방향”이라며 “(입국자가 국내에 도착했을 때) 격리 해제 전 검사까지 확실히 해 지역사회에서 확대되지 않도록 입국 검역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변이 확인 시에는 임상 증상 따른 격리 해제가 아니라 검사 후 격리에서 해제해 격리 기간 늦게 바이러스가 배출되는 것까지 고려해 관리하고 있다”며 “지역사회 확진자 발생 시 접촉자를 포괄적으로 선정해 검사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