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해양쓰레기 급증…플라스틱 쓰레기가 83% ‘적신호’

입력 2021-03-10 13:45 수정 2021-03-10 13:56
뉴시스

정부가 최근 3년간 수거한 해양 쓰레기가 연평균 11만4000t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해안가 플라스틱 쓰레기의 비중은 83%로 절대다수를 차지했다.

10일 해양수산부는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수거한 해양 쓰레기가 모두 34만2637t이라고 밝혔다. 연도별로 2018년에 9만5631t, 2019년에 10만8644t을 수거했고 지난해에는 13만8362t을 치워 수거량이 3년간 꾸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지난해 수거량은 전년보다 27.4% 늘어 심각한 문제로 불거졌다.

이러한 해양 쓰레기는 바닷속에 가라앉은 침적 쓰레기, 바닷물에 떠 있는 부유 쓰레기, 해안가에 밀려온 쓰레기 등을 모두 합한 것으로 한 해 평균 수거한 쓰레기양은 11만4212t인 셈이다.

해수부는 수치를 해석하며 최근 태풍 등으로 쓰레기 발생량이 늘어난 것과 정부가 해양 쓰레기 관리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 점 등을 이유로 들어 해안 쓰레기 수거량이 증가했다고 전했다.

해양 쓰레기 중 가장 많은 쓰레기가 발생하는 곳은 해안가로 나타났다. 해안 쓰레기는 지난해 기준 11만1592t으로 전체 해양 쓰레기의 80.7%를 차지했으며 이는 2019년 7만5132t보다 48.5% 증가한 수치다.

또한 해수부는 전국 해안 중 40곳에서 매년 6차례에 걸친 정기조사 결과 플라스틱 쓰레기가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2만6209개가 수거된 플라스틱 쓰레기는 연평균 해안 쓰레기 발생 개수의 83.0%를 차지했다.

해안가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다음으로 유리가 매년 평균적으로 1956개(6.2%), 금속은 1160개(3.7%), 목재가 867개(2.7%)였다. 플라스틱 쓰레기의 유형별로는 음료수병이나 뚜껑(26.2%)이 가장 많았고, 스티로폼 부표(20.7%), 어업용 밧줄(17.1%) 등 순으로 많았다.

외국에서 유입된 해양 쓰레기는 128㎏에 달하며 지난해까지 3년간 연평균 413개가 발생했다고 알려졌다.

매년 증가하는 해양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해수부는 내년 중 어구·부표 보증금제를 도입하고 하천에서 바다로 흘러드는 쓰레기를 막기 위한 차단막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해양 환경미화원인 바다환경지킴이를 1300명까지 확충하고 해양 쓰레기 관리사업에 대한 국고보조 비율을 높이는 등 방침을 마련할 전망이다.

노유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