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직원 집서 ‘개발지도’ 나와…경찰, 투기관련성 본다

입력 2021-03-10 09:54 수정 2021-03-10 10:08
9일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가 'LH임직원 신도시 투기 의혹' 수사와 관련해 LH 본사와 과천의왕사업본부, 광명시흥사업본부 등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연합뉴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3기 신도시 광명·시흥지구 내 투기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이 지난 9일 일부 직원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에서 토지개발 관련 지도를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해당 정보 유출 경로 및 투기 관련성 등을 집중 파악하고 있다.

10일 경찰 등에 따르면 경찰은 해당 압수수색 중 직원의 거주지에서 토지의 위치와 지목 등 개발 관련 정보가 담긴 지도를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이는 통상 공인중개사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지도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체만으로는 사전 투기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경찰은 해당 직원이 매입 토지의 대상 지역 등을 파악하기 위해 보관한 것으로 추정하고, 투기 관련성과 유출 경로 등을 파악 중이다.

경찰은 이와 관련해 본사 및 사업본부의 업무용 PC, 혐의를 받는 직원의 휴대전화 등을 정밀 분석 중이다. 개발사업 관련 문서를 비롯해 사내망으로 주고받은 직원들 간 이메일과 메신저, 휴대전화를 통한 연락 등을 통해 개발 정보가 어떻게 흘러갔는지 파악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경기남부경찰청은 9일 오후 LH 본사 및 경기지역 과천의왕사업본부, 인천지역 광명시흥사업본부를 포함해 3기 신도시 시행 예정지의 토지를 미리 매입한 혐의를 받는 직원 13명의 주거지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이번 압수수색에 경찰은 포렌식 요원을 포함한 67명의 수사관을 투입했다.

한편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는 국무총리의 LH 임직원 투기 의혹 수사에 대한 지시와 관련해 국수본 특별수사단을 ‘정부합동 특별수사본부(특수본)’로 격상해 운영하기로 했다.

특수본은 남구준 국수본부장이 이끌고, 각 시·도경찰청 반부패수사대를 중심으로 수사 인력을 대폭 증원해 운영될 방침이다. 특히 국세청과 금융위 등 관계기관으로부터 전문인력을 파견받아 운영할 예정이다.

수사 범위도 3기 신도시 예정지뿐만 아니라 전국 자치단체별로 추진 중인 부동산 정책과 관련된 투기 의심 지역까지 확대키로 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