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흥 신도시 예정지 내 토지를 매입한 광명시청 소속 공무원이 5명 추가로 확인됐다. 이미 토지 매입이 확인된 6급 공무원을 포함해 신도시 예정지 토지를 매입한 광명시청 공무원은 총 6명으로 늘었다. 광명시는 업무상 정보를 이용해 투기성 토지 매입을 했는지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박승원 경기 광명시장은 10일 “광명·시흥 신도시 예정지 내 토지를 매입한 소속 공무원 5명을 추가로 확인했다”며 “이에 따라 해당 부지 토지를 매입한 광명시청 소속 공무원은 이미 확인된 6급 공무원을 포함해 모두 6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직급별로 5급 2명, 6급 3명, 8급 1명이다. 2015년, 2016년, 2019년에 각 1명, 2020년에 3명이 토지를 취득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광명·시흥 신도시 사전 땅 투기 의혹이 제기된 이후 해당 지자체가 소속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개발지 토지 거래에 대한 자체 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는 광명시가 처음이다.
광명시는 “지난 4일부터 1308명의 모든 공무원과 245명의 광명도시공사 직원 등 총 1553명을 대상으로 도시개발지구에 대한 불법 투기 전수조사에 착수했으며,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조성사업지구, 구름산 도시개발사업지구, 광명하안2 공공주택지구, 광명문화복합단지 도시개발사업지구로 조사 대상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광명시는 도시개발사업 발표일을 기준으로 5년 전부터 발표일까지의 토지 취득 내역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광명시는 “6명의 공무원에 대해서 불법 형질변경 등의 위법행위가 있었는지 현장 조사를 실시한 결과 6급 공무원의 경우 불법으로 토지를 형질 변경한 사실은 확인돼 해당 공무원에 대해 원상복구 명령을 내렸다”며 “향후 조사를 통해 징계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광명시는 이 외 5명은 형질변경 등의 불법행위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업무상 정보를 이용해 토지를 취득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 시장은 “이들 6명이 업무상 정보를 이용해 토지를 취득했는지를 조사 중이다. 정부합동조사단과 협력해 조사 대상자를 공무원 개인뿐만 아니라 공무원의 가족까지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LH 및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조성사업지구와 광명하안2 공공주택지구에 대해 관련 직원들의 부동산 투기 여부를 정부합동조사단에 조사를 요청하겠다”고 덧붙였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