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때문에 발생한 취약계층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대전시가 공공 긴급돌봄사업을 추진한다.
대전시는 오는 6월까지 노인·장애인·아동 돌봄 및 사회복지시설 지원을 위한 ‘코로나19 긴급돌봄사업’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사업 수행기관은 대전시사회서비스원 내에 구성된 긴급돌봄지원단이다.
사회서비스원 자체 긴급돌봄사업, 보건복지부 요청사업인 의료기관 돌봄인력 모집·지원 등 2개 사업이 운영된다.
자체 긴급돌봄사업 지원 대상은 코로나19로 기존 돌봄서비스가 중단됐거나 홀로 자가격리된 노인·장애인·아동 등 취약계층, 종사자의 확진으로 돌봄공백이 발생한 사회복지시설이다.
대상자의 자택이나 사회복지시설로 요양보호사·활동지원사 등의 돌봄인력을 배치, 최대 14일까지 일상생활·외부활동 지원 및 시설생활 지원 등 유형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긴급돌봄서비스 신청은 동주민센터와 보건소, 시설 등을 통해 가능하다.
시는 관련 사업계획 수립 및 예산지원, 추진상황 모니터링, 추진체계 간 협업체계 구축을 담당한다. 사회서비스원은 대상자 선정 및 돌봄인력 교육·배치, 서비스 제공, 사업 모니터링 등을 수행하며 자치구는 돌봄대상자 발굴·신청 및 주민 홍보 역할을 맡게 된다.
의료기관 돌봄인력 모집·지원 사업은 고령자 등 신체수발이 필요한 확진자를 위해 코로나19 치료병원, 생활치료센터 등 의료기관에 파견할 긴급돌봄 제공인력(요양보호사·간병인)을 모집·교육하는 사업이다. 시는 관련 교육 후 수료자 명단을 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에 제공한다.
서비스제공 인력은 사회서비스원 종합재가센터의 기존 돌봄인력을 우선적으로 배치한다. 돌봄 수요에 보다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오는 6월까지 요양보호사와 활동지원사, 보육교사 등 50명을 상시·공개 모집한다.
공개 모집된 긴급돌봄 인력은 직무·실습 등 15시간 이내의 사전교육을 이수한 뒤 현장에 배치된다. 이들은 진단검사와 상해보험가입, 방호복 등 업무수행에 필요한 안전조치를 통해 관리받게 된다.
사회서비스원은 각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및 이용자 대상 만족도를 실시해 사업 종료 후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연계할 계획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노인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의 긴급돌봄 지원체계가 촘촘히 구축되고, 가정·시설에서 발생한 돌봄공백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사업 규모와 기간, 인력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