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광명·시흥지구 사전투기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업무배제 된 인물이 부장대우나 차장급이다” “LH 직원들이라고 부동산 투자하지 말란 법 있나?” 등의 글이 올라와 눈길을 끌고 있다.
뉴스1에 따르면 지난 3일 블라인드 LH 직원 채널엔 ‘LH 업무배제 명단과 이유를 실시간으로 들었다’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에는 “부장님 통해 들은 사실”이라며 “현재 걸린 사람들 다 부장 대우 차장급이 대다수고 전원이 다 50대 이상”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제보자는 같은 부서 밑 대리·사원급으로 추정된다”고 한 글쓴이는 “아래서는 일을 엄청 하는데 윗사람들이 입으로만 일하니까 찔렀을 가능성 농후하다”고 했다. LH 측은 해당 글 내용과 관련해 “조사가 진행 중이라 답변이 어렵다”며 즉답을 피했다.
이 채널 인기 리뷰에도 ‘워라밸 보장은 일부만’ 제목의 글이다. 글쓴이가 꼽은 LH공사의 장점은 “공기업이어서 정년이 안정적이다. 매달 돈이 꼬박꼬박 들어온다”였고 단점은 “일부에게만 업무가 쏠리는 시스템. 일한 것 대비 턱없이 부족한 월급”이었다.
이 밖에도 ‘LH 투기 의혹’ 관련 게시물 중 LH 일부 직원의 투기 의혹을 두둔하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한 네티즌은 “LH 직원들이라고 부동산 투자하지 말란 법 있냐. 내부정보를 활용해 부정하게 투기한 것인지 본인이 공부한 것을 토대로 투자한 것인지는 법원이나 검찰에서 판단할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네티즌도 “요즘 영끌하고 부동산에 몰리는 판국에 1만명 넘는 직원 중 광명에 땅 사둔 사람들이 걸렸을 수도 있는데 무조건 내부 정보 악용한 것 마냥 시끌시끌하다”며 “막말로 다른 공기업·공무원 등 공직 쪽에 종사하는 직원 중 광명 쪽에 땅 산 사람 한 명 없겠냐”고 했다. “굳이 직원들끼리 한 필지를 공유지분으로 나눠 산 것은 기획부동산 아니냐”는 지적에 다른 네티즌은 “공유지분이 불법이냐”는 답을 내놓기도 했다.
이 같은 반응에 많은 네티즌은 공분했다. “농사지을 땅에 묘목도 정확하게 보상받을 만큼만 심어 놓은 것도 우연이냐” “일부 LH 직원들이 저런 생각을 갖는 것만으로도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 추락이다” “적반하장도 정도껏 해라” “너무 뻔뻔한 것 아니냐”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