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주택공급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다소 꺾인 가운데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인 전세가율 상승세도 진정 신호를 보이고 있다. 전세가율이 지난해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처음 하락한 것이다.
3일 KB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 시계열 통계를 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지난달 56.17%로 전달(56.26%)보다 0.09% 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7월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담은 새 임대차법이 시행된 이래 줄곧 오르다 처음 낮아졌다. 한국부동산원 통계도 비슷한 흐름을 보인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지난해 7월(57.26%)부터 올해 1월(58.55%)까지 매달 상승했다가 지난달 58.52%로 처음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의 전셋값 상승세가 꺾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0.96%에서 지난 1월 0.74%, 2월 0.60%로 2개월째 오름폭이 줄었다. 향후 3개월 서울 아파트 전셋값 전망(KB부동산 전망지수)도 지난해 8월 142.6까지 올랐다가 5개월 연속으로 내림세를 보였다. 지난달에는 114.6까지 지수가 떨어졌다. 전세수급지수도 지난달 160.1로 지난해 2월(160.9) 수준으로 내려갔다. 1∼200 사이로 표시되는 이 지수는 수치가 높을수록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하지만 서울 전세 시장 과열이 꺼졌다고 보기엔 이르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입주 예정인 서울 아파트가 2만6940가구로 지난해보다 45% 줄어들고, 봄 이사 철인 4∼5월이 다가오면서 전셋값이 다시 들썩일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