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문재인 대통령의 3·1절 기념사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은혜 국민의힘 대변인은 1일 오후 구두 논평을 통해 “그 긴 3·1절 기념사에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 대한 언급은 단 한 번도 없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일본 정부가 끝났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더니, 피해자인 우리가 먼저 끝내자는 건가”라고 덧붙였다.
김 대변인은 이어 “문재인정부는 위안부 문제와 징용에 대해 일본의 진심 어린 사과와 반성이 이뤄졌다고 보는 건가. 과거를 직시하지 않고는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는 문 대통령의 3·1절 기념사가 불과 1년 전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대변인은 “정부 여당의 성 비위로 치러지는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또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모른 척하는 이 정권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애써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아픔을 외면하고 싶은건가 아니면 언급하기가 민망한 것인가”라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열린 제102주년 3·1절 기념식에서 “과거에 발목 잡혀 있을 수는 없다”며 “과거의 문제는 과거의 문제대로 해결해 나가면서 미래지향적인 발전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는 내용의 기념사를 전했다. 문 대통령은 또 “한국 정부는 언제나 피해자 중심주의의 입장에서 지혜로운 해결책을 모색할 것”이라며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을 위해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에서 최근 존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가 논문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자발적 매춘부라 주장한 데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또 “우리는 성숙한 민주주의의 힘으로, 코로나 위기 속에서 방역과 경제의 모범을 만들어왔고, K-방역의 성과와 경험을 세계와 공유하고 있다”며 “개도국과 보건 취약 국가에 대한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우리는 미국, 중국, 러시아, 몽골과 함께 ‘동북아 방역·보건협력체’를 출범시켰다”며 “일본도 참여를 검토하고 있으며, 나아가 북한도 함께 참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국민의힘은 문 대통령의 3·1절 기념사에 부적절한 내용이 포함됐다고도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불행한 과거마저 현재를 위해 활용하는 정권에는 신뢰가 갈 수 없다”며 “오늘도 빼놓지 않는 K방역 자화자찬과 뜬금없는 북한의 방역협력체 참여를 촉구한 대통령에게 일제 치하에서 겪었던 고통과 희생을 기리고 아직 치유되지 않은 아픔을 보듬는 3·1절의 의미를 다시금 상기시켜드린다”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