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고위 관계자는 28일 “부동산 문제를 비롯한 문재인정부의 지난 4년간 실정이 부각돼 있는 데다 전임 서울시장의 성비위로 치러지는 선거라는 점에서 야권이 힘을 합치면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집권 후반기 정부 심판론이 호응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십분 활용하고 범야권 표를 하나로 결집시켜 시너지 효과를 끌어올려야 승리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다만 국민의힘 내부에선 “이번에 여야가 1대1 구도로 맞붙더라도 승리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2012년 19대 총선 당시 새누리당은 서울지역 비례대표 선거 득표율에서 42.28%로 38.16%를 기록한 민주통합당을 앞섰다. 하지만 당시 10.56%를 얻은 통합진보당을 포함하면 새누리당이 진보계열 정당에 밀렸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번 선거에서 정의당이 당 대표 성비위로 무공천 결정을 내린 것도 이 같은 야권의 위기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 10년간 선거의 서울 지역 득표율만 보면 야권의 승리는 녹록지 않다. 2018년 지방선거 당시엔 김문수 자유한국당 후보(23.34%)와 안철수 바른미래당 후보(19.55%)의 득표율을 합쳐도 박원순 더불어민주당 후보(52.79%)에게 뒤지는 표를 받았다.
야당은 2017년 대선 당시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20.78%), 안철수 후보(22.72%),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7.26%)의 서울 지역 득표율을 모두 더해야 진보계열 정당에 앞설 수 있었다. 당시 이들 후보의 지지율 합은 50.76%로, 문재인 후보(42.34%)와 심상정 정의당 후보(6.47%)의 지지율을 합친 것보다 많았다.
국민의힘은 범야권 표를 모두 끌어 모으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아울러 부동산 대란과 코로나19로 여파로 인한 경기침체, 코로나19 백신 확보 문제 등 정권 심판 여론을 높이는 전략도 강화할 방침이다. 당 관계자는 “향후 단일화 과정에서 절대 잡음이 있어서는 안 되고, 누가 야권 단일 후보가 되든 ‘원팀’을 만들어 정권 심판론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중도표 확보 여부에 야권의 승패가 달려 있다고 진단했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은 야권의 승리 셈법에 대해 “단일화는 야권 지지층 결집을, 정권심판론은 문 대통령 부정평가층 확대 구도를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