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첫 접종’ 논란 의식? “1호 접종자 없다” 이례적 결정

입력 2021-02-25 16:34
국내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의 출하가 24일 경북 안동 SK바이오사이언스 공장에서 시작되어 경기 이천 물류센터로 이송되고 있다. 이날 출하되는 백신은 정부가 계약한 75만명분의 일부인 15만명 분으로 경기 이천 물류센터를 거쳐 전국 보건소와 요양병원 등으로 운송된다. 안동=윤성호 기자

정부가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최초로 접종하는 ‘전국 1호 접종자’를 지정하지 않기로 했다. 해외 국가에서 1호 접종자에 의미를 부여했던 것과 달리 전국 동시 접종을 한다는 것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하루 앞둔 25일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는 특정 한 명을 ‘1호 접종자’라고 의미를 부여하기보다는 접종이 시작되는 첫날에 의미를 두겠다”고 밝혔다. 이어 “26일 오전 9시 전국적으로 동시에 시작되는 요양병원, 요양시설 만 65세 미만 입원·입소자, 종사자가 모두 첫 번째 접종자가 된다”고 덧붙였다.

이는 전세계적으로 이례적인 결정이다. 먼저 접종이 이뤄진 국가들을 보면 메시지를 담아 1호 접종자를 선정했다. 지난해 12월 영국의 첫 접종자는 90세 노인이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죽음의 위험을 극복하겠다는 의미를 줬다. 미국의 1호 백신 접종자는 50대 간호사였다. 코로나19와의 전쟁에서 환자 곁을 지키겠다는 메시지로 읽혔다. 백신 불신이 제기되자 당시 당선인 신분이었던 조 바이든 대통령은 앞장서 백신을 맞았다. 일본은 국립 도쿄의료센터 원장이 1호였다.

따라서 정부가 1호 접종자를 정하지 않은 게 최근 정치권에서 불거진 논란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정치권에선 문재인 대통령의 1호 접종 여부를 놓고 여야간 거센 공방이 벌어졌다.

한편 26일에는 전국 요양시설 213곳에서 만 65세 미만 입소자·종사자 5266명이 백신을 맞는다. 전날 백신을 배송받은 요양병원 292곳은 자체 일정에 따라 5일 이내 접종을 진행한다.

나머지 요양병원 1365곳도 26~28일 순차적으로 백신을 받아 5일 이내 접종을 실시하게 된다. 정경실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관리반장은 “요양병원은 아침마다 회진하는 곳도 있어 병원 사정에 따라 접종시간을 정해서 접종하게 된다”고 말했다. 노인요양시설은 위탁 의료기관이나 보건소 등에서 방문접종을 할 계획이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1차 접종은 총 70만4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다음달 완료할 예정이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